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10.
《세계 명작 동화를 둘러싼 40년의 여행》
이케다 마사요시 글/황진희·심수정 옮김, ㅁ, 2022.12.24.
다시 시골버스가 다니는 쇠날이다. 고흥읍으로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시골버스에서 하루글과 노래를 쓴다. 앞으로 서울이건 시골이건 쇠(자가용)를 내려놓을 할매할배가 부쩍 늘 텐데, 시골버스를 언제 어디에서나 느긋이 탈 겨를을 늘려야 맞지 않을까. 시골버스가 안 다니는 쉼날에는 택시조차 뜸하다. 그나저나 이제는 시골이건 서울이건 ‘버스회사 보조금’이 어마어마한 줄 아는데, 도움돈(보조금)을 받으면서 말없이 안 다니는 이런 짓을 일삼으면서도 멀쩡하니까, 이런 얼거리인 나라(지방자치체)는 썩을 수밖에 없고, 고인물로 죽어가게 마련이다. 《세계 명작 동화를 둘러싼 40년의 여행》을 조금씩 읽는다. 이웃나라 글지기가 여민 글은 뜻있다고 느끼되, 옮김말은 너무 아쉽다. 우리나라는 옮김삯(번역료)이 터무니없이 낮은 터라, 허둥지둥 더 많이 옮기려고 달음박질을 해야 하니까 어쩔 길이 없다고 핑계를 댈 수 있다. 그런데 옮김일을 좀 한 ‘어른’부터 ‘낮은 옮김삯’을 손사래치면서 ‘글지음삯’하고 나란히 받도록 목소리를 내어 바꿔야 맞지 않을까? 옮김삯이 낮은 줄 누가 모를까. 책을 새로 찍을 적마다 옮긴이한테도 글삯을 치러야 마땅한 줄 모른다면, 펴냄터를 꾸리지 말아야 하는 줄 제대로 알려야 맞지 않겠는가.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