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호사 豪奢
호사를 누리다 → 배부르다 / 잘먹다 / 떵떵거리다
호사를 부리다 → 흥청망청 / 돈잔치 부리다
분수에 넘치는 호사를 부린다는 건 → 주제에 넘친다면 / 주제모르고 호강한다면
‘호사(豪奢)’는 “호화롭게 사치함. 또는 그런 사치 ≒ 분사”를 가리킨다지요. ‘멋·멋길·멋꽃·멋살림’이나 ‘뉘·호강’으로 손질합니다. ‘달달하다·달콤하다·단꿈·봄꿈·사랑꿈’이나 ‘배불리·배부르다·등 따습고 배부르다’로 손질하고, ‘돈지랄·돈잔치·헤프다’나 ‘흔전만전·흥청망청·떵떵거리다’로 손질해요. ‘걱정없다·근심없다·좋다’나 ‘잘살다·잘먹다·잘 있다·잘 지내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넉넉하다·넘치다·들어차다’나 ‘가득하다·건하다·그득하다·흐드러지다’로 손질해도 되어요. ‘지나치다·차고 넘치다·흘러넘치다’나 ‘탕·팡·팡팡·펑·펑펑·퐁·퐁퐁·펑펑 쓰다’로도 손질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호사’를 다섯 가지 더 실으나 몽땅 털어냅니다. ㅍㄹㄴ
호사(好士) : 훌륭한 사람
호사(好事) : 1. 좋은 일 2. 일을 벌이기를 좋아함
호사(好詞) : 좋은 글귀나 시가
호사(胡使) : 예전에, 중국 청나라에서 오던 사절 = 호차
호사(豪士) : 호기롭고 날랜 사람
호령하며 권세부리며 호사한 글방에서 멍든 세상 구경하면서
→ 을러대며 거머쥐며 돈지랄 글칸에서 멍든 나라 구경하면서
→ 으르렁 뽐내며 배부장나리 글집에서 멍든 삶터 구경하면서
《님은 이렇게 오더이다》(김명식, 학민사, 1989) 102쪽
저녁 식사에 약간의 호사를 부리는 것이 허락되어 있다
→ 저녁자리에 살짝 멋을 부려도 된다
→ 저녁밥을 조금 넉넉히 즐겨도 좋다
→ 저녁을 꽤 배불리 먹어도 봐준다
《책이 모인 모서리 여섯 책방 이야기》(소심한책방·손목서가·고스트북스·달팽이책방·유어마인드·동아서점 쓰고 펴냄, 2019) 8쪽
평생 꿈도 못 꿀 호사다
→ 꿈도 못 꿀 호강이다
→ 꿈도 못 꿀 봄꿈이다
→ 꿈도 못 꾸도록 넘친다
《오역하는 말들》(황석희, 북다, 2025) 3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