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170 : 결국 휴화산 기저 -고 있 거
결국 터지지도 못하는 휴화산이면서 기저에선 부글부글 끓고 있는 거다
→ 끝내 터지지도 못한 주제에 밑에선 부글부글한다
→ 뭐 터지지도 못하면서 밑바닥에선 끓는다
《오역하는 말들》(황석희, 북다, 2025) 19쪽
아직 터지지 않지만 터지려 하기에 ‘쉼갓’이요 ‘쉼불갓’입니다. 그냥 ‘휴화산’이라 하면 터지지 않은 곳이니, “터지지도 못하는 휴화산”이라 하면 겹말입니다. “터지지도 못하면서”나 “터지지도 못한 주제에”로 다듬습니다. 못 터지면서 끓는다는데, “부글부글 끓고 있는 거다” 같은 옮김말씨는 “부글부글한다”나 “끓는다”로 다듬습니다. ㅍㄹㄴ
결국(結局) : 1. 일이 마무리되는 마당이나 일의 결과가 그렇게 돌아감을 이르는 말 2. 어떤 일이 벌어질 형편이나 국면을 완전히 갖춤
휴화산(休火山) : [지구] 옛날에는 분화하였으나 지금은 분화를 멈춘 화산 ≒ 수면화산·쉬는화산·식화산·휴식화산
기저(基底) : 1. 어떤 것의 바닥이 되는 부분 2. = 근저(根底) 3. [수학] 주어진 벡터 공간에 속하는 원소의 모임으로, 임의의 벡터를 그 집합에 속하는 벡터들의 일의적(一意的)인 일차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집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