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한심 寒心
참으로 한심한 노릇이다 → 참으로 딱한 노릇이다 / 참으로 허튼 노릇이다
큰소리만 치니 한심하다 → 큰소리만 치니 불쌍하다 / 큰소리만 치니 엉망이다
이렇게 게을러서야 한심하구나 → 이렇게 게을러서야 바보같구나
내 말을 듣고 한심하다는 듯 → 내 말을 듣고 어이없다는 듯
‘한심(寒心)’은 “정도에 너무 지나치거나 모자라서 딱하거나 기막힘”을 가리킨다지요. ‘모자라다·딱하다·가엾다·불쌍하다·안되다’나 ‘애잔하다·애처롭다·애절하다’로 다듬습니다.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터무니없다’나 ‘바보같다·돌머리·우습다·우스꽝스럽다·웃기다·울다’로 다듬어요. ‘엉망·엉망진창·엉성하다·엉터리·못 미치다’나 ‘잠꼬대·헛소리·거드름·껄렁·씨나락 까먹는 소리’로 다듬을 만하고, ‘부끄럽다·창피하다·쑥스럽다·남우세·남사스럽다’나 ‘낯없다·낯부끄럽다·낯뜨겁다’로 다듬지요. ‘군것·군더더기·군말·아무말·아무말잔치’나 ‘잠꼬대·자잘하다·자잘소리·자잘말’로 다듬어도 어울려요. ‘짧다·짤막하다·젬것·젬치·젬뱅이’나 ‘처음·첨·처음 겪다·처음 듣다·처음 보다·처음 있다’로 다듬고, ‘철없다·철딱서니없다·코흘리개’로 다듬습니다. ‘한갓되다·허방·허방다리·헤뜨다’나 ‘허튼·허튼놈·허튼말·허튼짓·허튼꿈·허튼속’으로 다듬을 수 있고, ‘헛것·헛되다·헛말·헛소리·헛다리·헛발·헛꿈·헛속’이나 ‘헛물·헛바람·헛심·헛일·헛짓·헛짚다·헛헛하다’로 다듬으면 돼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한심(閑心)’을 “한가한 마음”으로 풀이하며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이 한심천만한 꼴이라니
→ 이 엉터리 꼴이라니
→ 이리 볼꼴사납다니
→ 이렇게 꼴사납다니
《오! 나의 여신님 29》(후지시마 코스케/금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4) 13쪽
물론 아버지 입장에서도 아들의 클릭질이 한심하게 보일 게 틀림없었다
→ 뭐 아버지 보기에도 아들 딸깍질이 바보스레 보일 테지
→ 아버지 눈으로도 아들 또깍질이 우스워 보이리라
《두근두근 내 인생》(김애란, 창비, 2011) 75쪽
그때의 버릇이 남아서, 지금도 사람들 앞에서 만화를 그릴 때와 도시락을 먹을 때는 나도 모르게 다른 한쪽 손으로 숨기려고 한다. 한심한 조건반사다
→ 그때 버릇이 남아서, 아직도 사람들 앞에서 그림꽃을 그릴 때와 도시락을 먹을 때는 나도 모르게 다른 한쪽 손으로 숨기려고 한다. 창피한 버릇이다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창작법》(데즈카 오사무/문성호 옮김, AK hobbybook, 2015) 232쪽
자기 옷이 뭘로 만들어졌는지도 모르다니 참 한심하구나
→ 제 옷을 뭘로 지었는지도 모르다니 참 바보로구나
→ 제 옷을 어찌 지었는지도 모르다니 참 가엾구나
《꼬리 여덟 개 잘린 구미호가 다녀갔어》(김미희, 키위북스, 2020) 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