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9.18.
《원전집시, 피폭 하청 노동자의 기록》
호리오 구니에 글/고노 다이스케 옮김, 무명인, 2017.3.11.
아침에 뒷간을 치운다. 집안일을 하고, 밥을 차리고, 씻고, 글살림을 여미고서, 〈책숲 1023〉을 글자루에 담는다. 읍내 나래터(우체국)로 부치러 나간다. 큰아이랑 함께 시골버스를 탄다. 거님길과 길섶을 몽땅 차지하는 쇠(자동차)를 언제나처럼 본다. 은행나무 곁에서 조그맣게 싹트는 작은 은행나무를 본다. 집으로 돌아오고서 저녁을 먹고, 씻고, 둘러앉아 이야기하다가 함께 촛불보기를 한다. 촛불보기를 하면, 촛불을 거쳐서 빛살이 스며들고 이야기가 흘러들면서 앙금이 녹는다. 이러면서 스스로 바라보는 꿈그림을 또렷하게 느낄 수 있다. 촛불이 들려주는 말을 한참 이야기하고서 자리에 누워 풀벌레노래를 듣는다. 《원전집시, 피폭 하청 노동자의 기록》을 되읽는다. 이 책이 갓 나온 지 벌써 여덟 해로구나. 얼마나 읽혔을까. 눈여겨보는 이웃은 무엇을 느낄까. ‘피폭 하청노동자’라는 이름을 어느 만큼 헤아릴까. 돈터(은행)에서 일하는 사람은 ‘나흘쯤일(주4.5일제)’을 바란다고 한다. 그런데 숱한 사람은 ‘이레일(주7일노동)·엿새일’을 할 뿐 아니라 ‘하루 열두 시간’을 가볍게 일하기도 한다. 일을 덜 하려고 하기보다는 “일자리 나눔”을 할 노릇이지 않을까? 일자리 품을 넓히면서 어깨동무하는 길을 찾아야 맞지 않을까?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