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희망
우리 미래의 희망인 → 우리 앞빛인 / 우리 별빛인 / 우리 꽃망울인
조금의 희망도 없다면 → 조금도 앞길이 없다면 / 조금도 새빛이 없다면
나의 희망은 바로 → 내 꿈은 바로 / 내가 바라는 바는
‘희망(希望)’은 “1. 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람 ≒ 기망·기원·희기·희원·희행 2. 앞으로 잘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리킨다는군요. ‘-의 + 희망’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가지고 싶다”나 ‘바라보다·바람·바라다·비나리·비손·빌다·엎드리다·품다’로 고쳐씁니다. ‘기쁘다·반갑다·즐겁다·좋다·푸르다·푸른길·풀빛길·푸른꿈·풀빛꿈’이나 ‘새롭다·새롬빛·새날·새별·새빛’이나 ‘꽃그림·꽃빛그림·들꽃그림·들빛그림·숲그림·푸른꿈·풀꽃그림·풀빛그림’으로 고쳐쓸 수 있어요. ‘꽃망울·꽃봉오리·망울·몽우리·봉오리·부풀다·봄꽃·잎망울’이나 ‘꾸다·꿈·꿈꾸다·꿈그림·사랑꿈·어화둥둥·파란꿈·하하하’로 고쳐쓰고, ‘꿈그릇·꿈꽃·꿈바구니·꿈벼리·꿈주머니’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날개·나래·날갯짓·나래짓·날개펴다·나래펴다·트다·틔우다·활개·활갯짓’이나 ‘그리다·그림·노리다·뜻·뜻하다·찾다·할거리·할일’로 고쳐쓰면 되고, ‘단꿈·달달꿈·달콤꿈·디딤꿈·봄꿈·부푼꿈·큰꿈·큰뜻·큰불’이나 ‘두손들다·손들다·마음태우다·목마르다·목타다·속타다·애타다’로 고쳐쓰지요. ‘뒤·뒷길·뒷줄·앞·앞길·앞꿈·앞날·앞빛’이나 ‘말·말씀·말하다·얘기·이야기’로 고쳐쓸 만하고, ‘밝다·환하다·별·별빛·빛·빛꽃·빛살·우등불·윤슬·장작불·화톳불·횃불’이나 ‘새싹·생각·솟다·샘·샘물·샘솟다·싹·움·잎눈·잎싹·풀싹·풀눈’이나 ‘절·절하다·작은절·큰절’로 고쳐쓸 수 있어요. ㅍㄹㄴ
일말의 희망을 갖고서
→ 조금이나마 밝게
→ 아주 작게 꿈꾸고서
→ 실낱같은 꿈으로
《자전거 전국일주》(박세욱, 선미디어, 2005) 86쪽
육영사업은‘미래의 희망’인 어린이를 잘 기르고자 하는 사업이다
→ 가르치기란 ‘앞으로 꿈’인 어린이를 잘 기르고자 하는 일이다
→ ‘앞꿈’인 어린이를 잘 기르고자 하는 돌봄길이다
《현대 한국 사회의 문화적 형성》(홍성태, 현실문화연구, 2006) 196쪽
독서를 통해 살아가는 이유와 미래의 희망 등을 발견해내는 모습
→ 살아가는 뜻과 새로운 꿈을 책에서 찾아내는 모습
→ 살아가는 빛과 앞꿈을 책을 읽으며 알아내는 모습
《그대라는 문장》(손세실리아, 삶이보이는창, 2011) 57쪽
나는 어머님의 유일한 희망이고 또한 신앙 같은 존재였다
→ 나는 어머니한테 하나뿐인 꿈이고 믿음 같은 빛이었다
→ 나는 어머니한테 오로지 꿈이고 믿음 같은 하늘이었다
→ 나는 어머니한테 그저 꿈이고 믿음 같은 아이였다
《이것은 사진이다》(육명심, 글씨미디어, 2012) 17쪽
얼굴은 몹시 야윈 것 같았지만 한 줄기의 희망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 얼굴은 몹시 야윈 듯하지만 한 줄기 빛이 흐릅니다
《돌아온 고양이》(박경리·원혜영, 다산책방, 2023) 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