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자궁 子宮


 자궁 내의 출혈로 인해 → 아가집에서 피가 나와

 엄마의 자궁에서 건강하게 → 엄마 아기집에서 튼튼하게


  ‘자궁(子宮)’은 “[의학] 여성 생식 기관의 하나. 골반 안쪽에 있으며, 수정란이 착상하여 분만 때까지 태아가 자라는 기관이다 ≒ 자호·포궁”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우리말로 ‘아가집·아가집’이라 하면 됩니다. ‘애집’이라 할 수 있고, 때로는 ‘알집’이라 하면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자궁’을 다섯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ㅍㄹㄴ



자궁(子宮) : [민속] 점술에서 쓰는 십이궁의 하나. 자손에 관한 운수를 점치는 별자리이다 ≒ 남녀궁

자궁(梓宮) : [역사] 왕, 왕대비, 왕비, 왕세자 등의 시신을 넣던 관

자궁(紫宮) : 1. 대궐 또는 황궁 2. 신선의 거처 3. [천문] 큰곰자리를 중심으로 170개의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 태미원(太微垣)·천시원(天市垣)과 더불어 삼원(三垣)이라고 부르며, 별자리를 천자(天子)의 자리에 비유한 것이다 = 자미원

자궁(資窮) : [역사] 조선 시대에, 관리들의 정규적인 진급 상한선이었던 당하관의 최고 위계. 또는 그 위계에 오르던 일. 정삼품 하계를 이른다 = 계궁

자궁(慈宮) : [역사] 왕세자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죽고 왕세손이 즉위하였을 때, 죽은 왕세자의 빈(嬪)을 이르던 말



밤이면 자궁 깊숙이 가슴 깊숙이 박히는 불면의 못

→ 밤이면 아가집 깊숙이 가슴 깊숙이 박히는 뜬눈 못

→ 밤이면 아기집 깊숙이 가슴 깊숙이 박히는 까만 못

《고척동의 밤》(유종순, 창작과비평사, 1988) 68쪽


자궁만이 튼튼한 신부는 신랑의 심장자리에 자신을 밀어넣었습니다

→ 아기집만이 튼튼한 각시는 곁님 가슴자리에 저를 밀어넣었습니다

→ 알집만이 튼튼한 꽃짝은 곁짝 마음자리에 저를 밀어넣었습니다

《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허수경, 창작과비평사, 2001) 8쪽


갓 태어난 아기는 자궁 밖으로 나오면서 겪게 되는 이런 급속한 변화와 그 밖의 느낌을 놀랍도록 침착하게 견뎌낸다

→ 갓 태어난 아기는 아기집 밖으로 나오면서 이렇게 확확 바뀌고 느끼고 겪는 삶을 놀랍도록 차분히 견뎌낸다

《잃어버린 육아의 원형을 찾아서》(진 리들로프/강미경 옮김, 양철북, 2011) 66쪽


알은 어미의 자궁 속에서 난황을 먹고 자란 후

→ 알은 어미 알집에서 노른자위를 먹고 자란 뒤

→ 알은 어미 아기집에서 노른자를 먹고 자라서

《상어 SMART ABOUT SHARKS》(오웬 데이비/김보은 옮김, 타임주니어, 2017) 31쪽


품에 안은 네 여자의 자궁처럼 진실이 추해 보이더라도

→ 네가 품은 순이 아기집처럼 참빛이 못생겨 보이더라도

《황색예수》(김정환, 문학과지성사, 2018) 188쪽


자궁에서 해방된 또 다른 시작일 텐데

→ 아기집서 풀려난 또 다른 처음일 텐데

《푸른 돌밭》(최정, 한티재, 2019) 45쪽


유방과 자궁에 질환이 생길 수 있고

→ 가슴과 아기집이 다칠 수 있고

→ 젖과 아가집이 아플 수 있고

《자연의 아이》(줄리엣 디 베어라클리 레비/박준식 옮김, 목수책방, 2019) 13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