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파란노래 (읽고 잇고 있다)
읽잇있 1 생각하는 너와 나
이미 사라지고 없는 책이란, 이제 더는 읽히지 않으면서 잊히는 책일 텐데, 새책집에서 새것으로 안 사고팔 뿐, 헌책집에서는 다리품을 팔아서 찾아내어 새롭게 읽을 책이게 마련입니다. 책자취에 ‘100쇄’나 ‘200쇄’쯤 찍히는 책을 굳이 읽어야 우리 스스로 숨결을 살리지 않습니다. ‘30쇄’나 ‘50쇄’에 이르지 못하는데다가 ‘초판’으로 멈춘 책을 읽기에 우리 숨결을 못 살리지 않습니다. 그저 “늘 새롭게 마음을 일으키면서 ‘생각이라는 씨앗’을 우리 스스로 빚어서 심도록 북돋우는 책”을 손에 쥘 적에, 누구나 숨결과 숨빛과 숨꽃을 고스란히 살립니다.
책에는 ‘새책’과 ‘헌책’이 있습니다. 우리 살림살이도 ‘새살림’과 ‘헌살림’이 있습니다. 왜 둘만 있느냐고 물을 까닭이 없습니다. 워낙 이 별누리는 ‘둘’로 이루거든요. ‘둘’이란 ‘하나 + 하나’인데, 하나에 하나를 더해서 둘을 이룬 숨결이 새롭게 ‘하나’를 낳으면 언뜻 ‘셋’으로 서는구나 싶으면서 새삼스레 ‘하나’로 뭉칩니다. 둘인 ‘하나와 하나’가 낳은 ‘또다른 하나’는 겉몸으로는 셋이되, 마음으로는 ‘그저 하나’요, 사랑으로도 ‘언제나 하나’입니다.
한걸음을 떼기에 내 곁에 있는 너를 알아보면서 한걸음을 새로 뗍니다. 두걸음인 셈인데, 두걸음을 떼고서 둘이 하나로 피어나면, 어느새 우리는 새록새록 ‘한걸음(첫걸음)’을 떼면서 스스로 새롭게 눈뜨고 깨어납니다. 하나는 둘로 가서 셋을 이루고는 즐겁게 하나로 돌아갑니다.
이 얼거리를 ‘두하나(모두하나)’라 할 텐데, ‘양자물리학’이라 일컫습니다. ‘하나’하고 ‘하나’로 모두를 그리면서 ‘둘’로 피어나고 깨어날 적에 어쩐지 ‘하나’로 돌아가는데 크기도 부피도 빛깔도 고스란히 하나이되 뭇(무한대)입니다. ‘한길’이 ‘뭇길’인 셈이고, ‘한길 = 뭇길’은 곧장 ‘샘·샘물’로 만나서 흐릅니다.
두멧숲에서 졸졸 솟는 가장 맑고 싱그러운 물줄기가 ‘샘’입니다. 샘물은 많이도 적게도 솟지 않고, 여름에도 겨울에도 똑같이 솟습니다. 가물든 장마이든 샘물은 늘 같아요. 더욱이 샘물을 이루자면 비가 내려서 땅으로 스며야 하고, 비가 내리자면 바다가 하늘빛을 담아서 새파랗게 싱그러울 노릇입니다. 그러니까 바다가 비요, 비가 샘이며, 샘이 내요, 내는 다시 바다인데, 우리는 다 다르지만 하나인 물방울을 몸으로 받아들여서 목숨을 이루고 숨빛을 펴며 눈뜨고 깨어나는 사람입니다.
사람이란, 사랑으로 살림을 하는 숲빛인 목숨입니다. 사람이란, 샘물을 받아들이는 나(내·냇물·가시내·사내)입니다. 사람은, 샘물을 받아들여서 내를 이루어 흐르는 숨붙이라서 언제나 스스로 새롭고, 늘 저마다 새롭기에 ‘생각’을 씨앗으로 빚어서 마음에 가만히 묻고는, 생각씨가 싹틀 적마다 꿈을 이루고 삶을 누리는 오늘이라는 하루를 지내요.
생각이란, 새롭게 가는 길이요, 샘처럼 솟는 물빛이요, 하늘(사내)과 땅(가시내) 사이를 이으며 노래하는 새(멧새·철새)이면서, 틔워서 해바람비가 드나드는 자리인 ‘틈’과 닮되 다른 ‘새(사이)’입니다. 사내(머스마·아들)는 ‘작은땅(아들)’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논밭을 살찌우는 비를 뿌리는 ‘하늘’과 같다면, 가시내(갓·딸)는 ‘별(크게 하나인 땅·딸)’이라는 이름에 알맞게 온누리를 통틀어 품고 살리는 숲빛과 같습니다. ‘땅(딸)’이라는 낱말은 별(지구)을 통째로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그래서 샘물과 같은 ‘내’라는 말씨를 나란히 붙여서 다르며 닮은 사람길인 ‘가시내·사내’라 일컫습니다. 늘 맑고 밝게 흐르는 내처럼 흐드러지는 사랑으로 만나는 사이인 ‘가시내·사내’이기에, 한결같이 새롭게 눈망울을 반짝이면서 하루를 짓고 빚고 가꾸고 일구는 길에 함께 기운과 힘을 기울입니다.
생각이란, 눈으로는 못 본다고 여기지만, 늘 우리 몸마음에 흐르는 ‘빛나는 씨앗’입니다. 우리는 마음을 늘 ‘말’로 나타내지요. 남이 시키는 대로만 심부름을 한다면 ‘마음·말·삶’은 그저 딱딱하게 굳어서 아무 싹을 못 틔우지만, 아무리 작든 크든 스스로 마음을 기울여서 씨앗 한 톨을 심으려는 꿈을 키울 적에는 이 꿈이 어느새 ‘생각씨’로 거듭나서 싹트고 자랍니다.
생각씨를 스스로 일으켜서 마음에 심을 적에는 눈이 반짝입니다. 비록 ‘생각’을 못 본다고 여기더라도, “생각하는 사람”이 어떠한 숨결인지 ‘눈에 어리는 빛’으로 알아채요. 생각하며 말하는 사람은 눈이 별처럼 초롱초롱합니다. 생각시늉이나 생각흉내를 하면서 짐짓 꾸미거나 치레하는 사람은 눈이 안 빛나요. 마음에 두고 가꾸면서 사랑하는 별씨나 빛씨인 생각이니, 생각을 하면 나부터 살리고, 나를 마주하는 너한테 사랑빛을 베풀며, 우리가 나란히 파란하늘과 파란바다를 품는 사람으로 이곳에 섭니다. 2025.9.29.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