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9.10.
《묻다》
문선희 글·사진, 책공장더불어, 2019.3.8.
왼팔뚝이 두 달 즈음 찌릿거린다. 지난날(1998년)에는 두바퀴를 달리다가 쇠(자동차)한테 치여서 길바닥에 구르는 바람에 왼어깨랑 왼팔뚝이랑 왼무릎이 바보가 되어 열 몇 해를 앓은 적이 있다. 이러다가 시골로 삶터를 옮겨서 집안일을 하고 아이를 돌보고 숲살림을 품으면서 어느새 나았고, 올해에 이래저래 서울(도시)로 바깥일을 자주 다니면서 왼팔뚝이 도졌다. 언뜻 보면 왼팔에 이모저모 ‘손대야(수술)’ 한다고 여길 테지만, 집안일과 숲빛을 알맞게 맞이하면서 찬찬히 돌보는 길이 제대로 이바지한다고 느낀다. 밥을 하거나, 빨래를 하거나, 짐을 나르거나, 책이나 붓을 쥐거나, 작은아이랑 놀거나, 이래저래 팔을 쓸 적에 멀쩡할 때하고 찌릿해서 처질 때가 있다. 그러니까 마음뿐 아니라 몸은 스스로 다루고 놀리고 살피는 동안 ‘낫는길’을 스스로 알아채서 바꿀 수 있다. 《묻다》를 되새긴다. 가두리로 살점은 찌우려 하니 소도 돼지도 닭도 파묻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고기짐승만 가두리가 아니다. 논밭도 가두리요, 서울과 배움터(학교·학원)도 가두리에, 글밭도 가두리이다. 온통 온곳이 가두리로 숨막힌다. 해바람비가 드나들지 못 하는 가두리에서 꿈싹이 메다르지만, 어느새 너도 나도 잊고 팽개치고 등진다.
RFK Jr: We have the 'sickest country' in the world
https://www.youtube.com/watch?v=as5LcyuPTek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