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멈출 수 있는 (2025.9.13.)

― 부산 〈무사이〉



  ‘이야기(대화·토론)’는 뜻맞거나 마음맞는 사람하고만 할 수 없습니다. 뜻맞거나 마음맞는 사람하고는 오히려 아무 말이 없이도 어울리게 마련입니다. 뜻이 안 맞고 마음조차 안 맞는 사람하고는 자주 만나서 말을 섞어야 비로소 조금씩 서로 알아갑니다. 뜻과 마음이 안 맞는데 말조차 안 섞으면서 고개를 휙휙 돌리기만 한다면, 우리는 내내 다투고 싸우고 겨루다가 나란히 죽습니다.


  요즈음 ‘다툼(갈등)’이라는 낱말로 서로 갈라서고 갈라치고 갈라놓는 담벼락이 부쩍 느는 듯합니다. 마을다툼(지역갈등)은 나들이(여행)를 누구나 흔히 하면서 꽤 허물었다고 느낍니다만, 둘다툼(남녀갈등·젠더전쟁)은 끔찍할 만큼 사납습니다. 미워하다 못해 ‘죽여 없어야 할 놈년’으로 바라본다면, 더 다투고 싸우다가 함께 죽을밖에 없어요. 갈래다툼(정치갈등·정쟁)도 끝없는데, 서로서로 무리짓기(팬덤·팬클럽·열성지지층)로 확 돌아선 채 삿대질만 합니다. 이쪽은 ‘극좌’가 아니고 저쪽은 ‘극우’가 아닙니다. 걸핏하면 서로 ‘극-’을 앞에 붙여서 손가락질하기 바쁘더군요.


  ‘극좌’란 말을 함부로 쓰는 무리도 이웃(상대방 존중)을 안 봅니다만, ‘극우’란 말을 마구 쓰는 무리도 이웃을 안 들여다봅니다. 예전에는 ‘진보·보수’라고만 하더니, 어느새 ‘극좌·극우’라는 말로 바뀐 채 노려보고 쏘아보는 싸움터로 번집니다.


  저놈더러 먼저 멈추라고 할 일이 아닙니다. 저놈부터 멈춰야 한다고 외칠 일이 아닙니다. 나부터 멈추면 됩니다. 나부터 너를 ‘극-’이 아닌, 그저 ‘왼’과 ‘오른’으로 보면 되는데, 왼오른이나 ‘순돌(순이돌이·여남)’ 같은 겉모습을 넘어서 오롯이 ‘사람’으로만 볼 일이에요. 그래서 둘을 놓고서 ‘비장애인·장애인’으로 긋지 않아야지요. 둘 모두 ‘사람’입니다.


  부산 〈무사이〉로 찾아가는 새벽에는 비가 시원히 쏟아졌습니다. 시외버스에서 내려서 슬슬 책을 읽으며 전철을 갈아타고 거니는 동안에는 조용하다가, 〈무사이〉에서 나와서 다시 전철과 버스를 갈아타며 연산동으로 건너갈 적에도 비가 세차게 내립니다. 빗소리 참 대단하지요. 빗줄기 참 놀랍지요. 빗발 참 아름답지요.


  다 다른 책집에는 다 다른 손끝으로 다 다르게 여민 책이 다 다르게 깃들 적에 사랑스럽고 오붓하고 즐겁습니다. 책집마실을 할 적에는 ‘이미 아는 글님과 펴냄터’가 아닌 ‘책집 시렁에 놓인 아직 모르는책’에 손을 뻗기에 반갑고 느긋하고 새롭습니다. 여기를 보고 저기를 봐요. 다 다른 책은 다 다른 들꽃입니다.


ㅍㄹㄴ


《미래 세대를 위한 민주시민 이야기》(정주진, 철수와영희, 2025.9.18.)

《군대를 버린 나라》(아다치 리키야/설배환 옮김, 검둥소, 2011.7.8./2013.2.14.3벌)

《그리운 날엔 사랑을 지어 먹어야겠다》(류예지, 책과이음, 2024.8.30.)

《아무도 불러주지 않은 내 이름을 찾기로 했다》(김혜원, 느린서재, 2022.6.28.)

《일기장은 비웃질 않아》(심신, 피스카인드홈, 2024.11.30.첫/2025.2.20.2벌)

《부디 당신이 무사히 타락하기를》(무경, 나비클럽, 2025.6.18.)

《복닥맨션》(고유진과 열세 사람, 삼림지, 2025.3.17.)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