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118 : 타자 구별 즉각적 동일시 연민 타자 외형 종 종류 공동체 분류 생명체 인식


나와 타자를 구별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동일시하는 연민은 타자를 외형에 따라 종, 종류, 공동체로 분류하지 않고 다 같은 생명체로 인식한다

→ 나와 너를 가르지 않고 그대로 바라보는 마음으로, 남을 겉모습에 따라 씨·갈래·무리로 가르지 않고 다같이 숨결로 여긴다

《동물주의 선언》(코린 펠뤼숑/배지선 옮김, 책공장더불어, 2019) 12쪽


나와 너를 가르지 않는 눈이라면, 나와 남이 언제나 다르되 하나인 숨빛인 줄 알아봅니다. 나랑 너를 한마음으로 느끼니, 서로 어떤 씨나 갈래이나 무리이건 대수롭지 않아요. 늘 다같이 빛나는 숨결로 헤아립니다. 온누리 뭇숨결은 이 별에서 함께 어울립니다. 문득문득 느껴 봐요. 누가 높거나 낮지 않기에, 누구를 불쌍하거나 딱하게 여길 일이 아닌, 나란히 사랑으로 이을 마음입니다. 겉모습이 아닌 속빛을 살피면서 서로 새롭게 만날 사이입니다. ㅍㄹㄴ


타자(他者) : 자기 외의 사람

구별(區別) :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남. 또는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

즉각적(卽刻的) : 당장에 곧 하는

동일시(同一視) : 1. 둘 이상의 것을 똑같은 것으로 봄 ≒ 동일화 2. [심리] 정신 분석학에서, 다른 개인이나 집단의 특징을 자신의 것과 동일하게 여기는 정신적 조작

연민(憐憫/憐愍) : 불쌍하고 가련하게 여김

외형(外形) 1. 사물의 겉모양 2. 겉으로 드러난 형세

종(種) : 1. 식물에서 나온 씨 또는 씨앗 = 종자(種子) 2. 사물의 부문을 나누는 갈래 = 종류(種類) 3. 종류를 세는 단위 4. [논리] = 종개념 5. [생물] 생물 분류의 기초 단위. 속(屬)의 아래이며 상호 정상적인 유성 생식을 할 수 있는 개체군이다

종류(種類) : 1. 사물의 부문을 나누는 갈래 2. 갈래의 수를 세는 단위

공동체(共同體) : 1. [사회 일반] 생활이나 행동 또는 목적 따위를 같이하는 집단 2. [사회 일반] 인간에게 본래 갖추어져 있는 본질 의사에 의하여 결합된 유기적 통일체로서의 사회 = 공동 사회

분류(分類) : 1. 종류에 따라서 가름. ‘나눔’으로 순화 2. [논리] 유개념의 외연에 포함된 종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

생명체(生命體) : 생명이 있는 물체

인식(認識) : 1.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여 앎 2. [심리] 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 지각, 기억, 상상, 개념, 판단, 추리를 포함하여 무엇을 안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용어로 쓴다 = 인지 3. [철학]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물에 대하여 가지는, 그것이 진(眞)이라고 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는 개념. 또는 그것을 얻는 과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