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직성 直星
일이 직성에 맞지 않는지 → 일이 마음에 맞지 않는지
예나 지금이나 직성이 변하지 않았다 → 예나 이제나 마음결이 안 바뀌었다
헐뜯어야만 직성이 풀리는 위인이었다 → 헐뜯어야만 속이 풀리는 놈이었다
‘직성(直星)’은 “1. [민속] 사람의 나이에 따라 그 운명을 맡고 있는 아홉 별. 제웅직성, 토직성, 수직성, 금직성, 일직성, 화직성, 계도직성, 월직성, 목직성이 있다. 열 살에, 남자는 제웅직성이 들기 시작하고 여자는 목직성이 들기 시작하여 차례로 돌아간다고 한다 2. 타고난 운명 3. 타고난 성질이나 성미”처럼 풀이합니다. ‘아홉별’이나 ‘마음·맘·마음결·마음새·마음속’으로 고쳐씁니다. ‘속·속마음·속넋·속얼·속생각’이나 ‘성’으로 고쳐쓰고요. ‘뼛골·뼛속·뼛속들이’나 ‘뒤·뒤쪽·뒤켠·뒷자락’으로 고쳐쓸 만해요. ‘숨은넋·숨은얼·숨은마음·숨은생각·숨은빛’이나 ‘살림결·살림길·삶결·삶길’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직성’을 둘 더 싣지만 다 털어냅니다. ㅍㄹㄴ
직성(直省) : [역사]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과 상서도성에 둔 구실아치. 문종 때에 두었다
직성(直城) : [역사] 적을 막기 위하여 직선으로 길게 쌓은 성벽
언제까지 기다려야 직성이 풀리는 거냐고
→ 언제까지 기다려야 속이 풀리느냐고
→ 언제까지 기다려야 마음이 풀리느냐고
《심야식당 6》(아베 야로/조은정 옮김, 미우, 2011) 184쪽
언제쯤 직성이 풀리는 거야
→ 언제쯤 성이 풀려
→ 언제쯤 뒤켠이 풀려
→ 언제쯤 속마음이 풀려
《여름눈 랑데부 2》(카와치 하루카/김유리 옮김, 삼양출판사, 2012) 120쪽
있잖아 조무래기니 삼류니, 말끝마다 상대를 깎아내려야 직성이 풀리는 거니
→ 있잖아 조무래기니 우스우니, 말끝마다 깎아내려야 성이 풀리니
→ 있잖아 조무래기니 주접이니, 말끝마다 깎아내려야 속이 풀리니
《모브사이코 100 2》(ONE/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4) 98쪽
한번 관심이 생기면 거기에 관련한 책은 직성이 풀릴 때까지
→ 눈여겨보면 이와 얽힌 책은 속이 풀릴 때까지
→ 눈이 가면 이 갈래 책은 마음이 풀릴 때까지
《책이 좀 많습니다》(윤성근, 이매진, 2015) 17쪽
어디 직성이 풀릴 때까지 해봐
→ 어디 속이 풀릴 때까지 해봐
→ 어디 마음이 풀릴 때까지 해봐
《키테레츠대백과 2》(후지코 F. 후지오/오경화 옮김, 미우, 2018) 130쪽
무엇이든 다 가져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었다
→ 무엇이든 다 가져야 속이 풀렸다
→ 무엇이든 다 가져야 하는 마음보였다
→ 무엇이든 다 가지려 했다
《동남아시아사》(소병국, 책과함께, 2020) 1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