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전부


 공부가 인생의 전부인가 → 배우기만 하며 사는가 / 삶은 순 배울 뿐인가

 내 돈의 전부를 걸고라도 → 내 모든 돈을 걸고라도 / 내 돈을 몽땅 걸고라도

 땅콩 몇 알이 아침의 전부였구나 → 고작 땅콩 몇 알이 아침이었구나


  ‘전부(全部) ’는 “1. 어떤 대상을 이루는 낱낱을 모두 합친 것 2. 어느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가 다”를 가리킨다고 하는 일본말입니다. ‘-의 전부’는 ‘-의’를 털면서 ‘다·도거리·맨·머리부터 발끝까지·-만·-뿐’이나 ‘모두·모든·모두하나·모두한빛·모두한꽃·모두한길’로 다듬습니다. ‘모조리·몽땅·무엇을 하든·하는 일마다’나 ‘가없다·끝까지·끝없다’로 다듬고, ‘고스란히·곧이·곧이곧다·그대로·있는 그대로·있는 대로’로 다듬을 만합니다. ‘구석구석·깡그리·남김없다·샅샅이’나 ‘속속들이·송두리째·순·숨김없다·숫제·차라리’로 다듬고, ‘싹·썩·아낌없다·아무나·아무라도·아무도·아예’나 ‘깊이·꼬박·꼬박꼬박·꼬치꼬치·꽉·꽉꽉·꾹·꾹꾹’으로 다듬으면 돼요. ‘낱낱이·마디마디·미주알고주알·바른대로·빠짐없다’나 ‘오로지·온·온것·온마리·온통·온하나·온한빛·온한꽃·온한길’로 다듬지요. ‘제대로·족족·죄다·죄·주섬주섬’이나 ‘탈탈·탈리다·털털·털리다·탕·탕탕·텅·텅텅’으로 다듬어도 어울립니다. ‘턱·턱턱·탁·탁탁·톡·톡톡·툭·툭툭’이나 ‘통·통짜임·통째·통째로·통짜·통거리·통틀다’로 다듬고, ‘하나같다·하나씩·하나하나·하나둘’로 다듬어요. ‘홀랑·홀라당·훌렁·훌러덩’이나 ‘새까맣다·시커멓다·개나 소나·가재나 게나’로 다듬어도 되고요. ㅍㄹㄴ



좋은 대학 보내는 것을 공부의 전부로 여겼다

→ 나은 배움터 보내기를 배우는 길이라 여겼다

→ 높은 배움터 보내기만 배움길로 여겼다

《왜 학교는 질문을 가르치지 않는가》(황주환, 갈라파고스, 2016) 28쪽


지금은 어디에 갈지를 정하는 것이, 제 놀이의 전부가 되어버렸습니다

→ 이제는 어디에 갈지를 고르기가 제 놀이를 다 차지해 버렸습니다

→ 이제는 어디에 갈지를 찾기가 제 모든 놀이가 되어버렸습니다

→ 이제는 어디에 갈지를 고르는 놀이만 합니다

→ 이제는 어디에 갈지를 찾는 놀이를 할 뿐입니다

《혼자를 기르는 법 1》(김정연, 창비, 2017) 238쪽


그림으로 벌어들이는 돈이 그들 수입원의 전부였다

→ 그림으로 벌어들이는 돈이 그들 벌이였다

→ 그들은 그림으로 돈을 벌어들일 뿐이었다

→ 그들은 그림으로만 돈을 벌었다

《내 사랑 모드》(랜스 울러버/박상현 옮김, 남해의봄날, 2018) 146쪽


깜빡 잊었다는 게 이 이야기의 전부거든

→ 깜빡 잊었다는 이야기가 다거든

→ 깜빡 잊는다는 이야기이거든

→ 깜빡 잊었을 뿐이거든

→ 깜빡했다는 얘기이거든

→ 깜빡한 얘기이거든

《기뻐의 비밀》(이안, 사계절, 2022) 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