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082 : -의 톤 뉘앙스 표정 비언어적 요소 전달
목소리의 톤, 뉘앙스나 표정 같은 비언어적 요소를 전달하지 못합니다
→ 목소리, 말결, 얼굴빛은 들려주지 못합니다
→ 목소리, 말빛, 낯빛은 보여주지 못합니다
→ 목소리, 말씨, 얼굴은 밝히지 못합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과학 기술 문해력》(임완수·배성호, 철수와영희, 2025) 24쪽
‘목소리’라고만 해도, 목으로 내는 소리가 어떤 결인지 나타내니, “목소리의 톤”은 겹말입니다. 우리는 목소리만 들어도 어떤 마음이나 흐름인지 읽어요. 말결이나 말빛이나 말씨로 서로 다르구나 하고 알아챕니다. 얼굴이며 낯을 느끼면서 속내를 헤아리고요. 이 보기글은 “목소리, 말결, 얼굴빛”이 무엇인가 하고 밝히는 만큼 “비언어적 요소 전달” 같은 일본말씨는 군더더기입니다. ㅍㄹㄴ
톤(tone) : 1. 전체적으로 느껴지는 분위기나 어조 따위 2. [미술] = 색조(色調). ‘색조’로 순화 3. [음악] 일정한 높이의 악음
뉘앙스(<프>nuance) : 음색, 명도, 채도, 색상, 어감 따위의 미묘한 차이. 또는 그런 차이에서 오는 느낌이나 인상. ‘느낌’, ‘말맛’, ‘어감’으로 순화
표정(表情)’은 “마음속에 품은 감정이나 정서 따위의 심리 상태가 겉으로 드러남
비언어적 : x
요소(要素) : 1. 사물의 성립이나 효력 발생 따위에 꼭 필요한 성분. 또는 근본 조건 2. 그 이상 더 간단하게 나눌 수 없는 성분 3. [법률] 구체적인 법률 행위 또는 의사 표시의 내용 중 그 의사를 표시하는 사람에 의하여 중요한 의의를 가지게 된 부분 4. [수학] = 원소(元素)
전달(傳達) : 1. 지시, 명령, 물품 따위를 다른 사람이나 기관에 전하여 이르게 함 2. 자극, 신호, 동력 따위가 다른 기관에 전하여짐 3. [의학] 신경 섬유의 흥분이 신경 근육의 접합부(接合部)에 전하여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