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세대를 위한 과학 기술 문해력 미래 세대를 위한 상상력 12
임완수.배성호 지음 / 철수와영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9.3.

인문책시렁 449


《미래 세대를 위한 과학 기술 문해력》

 임완수·배성호

 철수와영희

 2025.3.5.



  아무리 새길(과학기술)이 발돋움하더라도 “안 먹고, 안 자고, 안 쉬고 살아가는 길”을 밝히지는 않습니다. “먹고, 자고, 쉬며 살아가는 길”을 다룰 뿐입니다. 여러모로 보면, 온누리 누구나 먼 옛날부터 새길(과학기술)을 늘 스스로 누리고 나누었습니다. 옛사람은 풀꽃나무하고 말을 섞고 마음을 나눌 줄 알았고, 섣불리 들숲메바다를 건드리거나 망가뜨리지 않았습니다. 옛사람은 비바람을 부를 줄 알고, 별과 한마음으로 살아가는 길을 저마다 열었는데, 이제 오늘날에는 먼눈(망원경)이 없으면 별을 못 볼 뿐 아니라, 별빛에 어떤 숨결이 흐르는지 까맣게 모릅니다.


  범과 곰하고 마음을 나누고 말을 섞던 옛사람은 ‘새길(과학기술)’이 없었다고 여겨도 될까요? 옛사람은 손전화도 부릉거리는 쇠도 누리길(인터넷)도 없었다지만, 누구나 스스로 삶을 짓고 논밭을 짓고 마음을 짓고 사랑을 지었습니다. 옛사람은 언제나 보금자리를 지을 뿐이면서, 총칼 따위는 아예 만들지 않고 건드리지 않았어요.


  오늘날 새길(과학기술)을 가장 널리 깊이 쓰는 데는 바로 총칼(군사과학기술)입니다. 오늘날에는 살림길은 등진 채 누리길(인터넷·ai)에 어마어마하게 돈과 품을 쏟아붓습니다. 우리는 어떤 하루일까요? 우리는 스스로 무엇을 팽개쳤고, 무엇을 쳐다보는 길일까요?


  《미래 세대를 위한 과학 기술 문해력》을 곰곰이 읽습니다. 이 책에서 살짝 짚기도 하는데, 2025년에만 해도 20조에 이르는 돈을 농림부에서 쓴다지만, 어디에 어떻게 쓰는지 거의 깜깜합니다. 들숲을 살리면서 멧숲을 푸르게 돌보는 길에는 아마 한 푼조차 안 쓰는 줄 압니다. 2025년 가을에 강릉은 가뭄으로 물이 바닥난다지만, 어찌할 길이 없어요. 어떤 새길(과학기술)로도 못 살립니다. 그런데 고작 한두 달 앞서까지만 해도 온나라 사람들은 ‘비’를 놓고서 ‘극한폭우’라느니 ‘물폭탄’이라느니 하면서 모질게 사납말을 쏟아부었어요.


  비가 내려서 온나라를 씻고 맑게 채우는 줄 까맣게 잊고는, 그저 비를 미워하고 싫어하기만 하는데, 비가 강릉뿐 아니라 다른 고장을 넘실넘실 채워 주고 싶을까요? 아무리 새길(과학기술)이 발돋움하더라도 비하고 마음을 안 섞고 안 나누는 굴레라면, 이런 새길로는 모조리 죽음길입니다.


  요즈음 시골은 죽음거름(화학비료)뿐 아니라 풀죽임물(농약)을 엄청나게 쏟아붓습니다. 죽음거름과 풀죽임물이 다 어디로 갈까요? 다 바다로 가지요. 다 들숲메를 더럽히지요. 또한 요즈음은 죽음켜(비닐)를 끔찍하도록 마구 씁니다. 죽음켜를 묻거나 태우면 어찌 되지요? 저절로 땅과 하늘과 물을 더럽힙니다.


  우리가 손수짓기를 하던 무렵에는 ‘버리는 밥(음식폐기물)’은 0%였습니다. 우리가 손수살림을 하던 나날에는 ‘쓰레기’도 0%였습니다. 우리 스스로 쓰레기를 어마어마하게 내놓고서, 이 쓰레기를 치우느라 돈을 또 어마어마하게 쓰고, 삶터는 삶터대로 망가지고 더럽습니다.


  새길(과학기술)을 읽으려면 먼저 우리 민낯을 볼 노릇이지 싶습니다. 남(사회·정부) 탓과 남 이야기는 좀 멈추고서, 우리가 오늘 어디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차근차근 읽어야 합니다. 우리는 어떤 집에서 사는지, 왜 자꾸 골목집을 밀고서 잿더미(아파트단지)를 올리는지, 애써 올린 잿더미는 고작 마흔 해도 못 버티는데, 앞으로 서른이나 마흔 해 뒤에는 어쩌자는 셈인지, 끝없이 쇠(자동차)를 만들고 부릉길을 늘리는 이 나라는 ‘삶’이 아니라 ‘죽음’으로 치닫는 셈인 줄 환하게 밝히고 아이들한테 들려주어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스마트폰이 가져다주는 편리함, 즉각적인 보상 시스템이 바로 중독의 원인이 됩니다. (18쪽)


과도한 화학 비료 사용은 지하수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를 일으키거나 유기물 증가로 녹조 현상 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3쪽)


우리가 동물과 대화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동물들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다면, 집단 사육이나 마구잡이 포획이 줄어들 수 있을까요? (59쪽)


인간의 이산화탄소 배출로 생긴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다시 큰 비용과 과학 기술을 투자해야 한다는 사실이 참 아이러니합니다. 애초에 환경을 보호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면, 이런 상황까지 오지 않았을지도 모르는데 말이에요. (96쪽)


수확 후 소비자 전달 과정에서 생기는 양 13%를 합치면, 생산된 전체 음식물의 약 32%가 낭비되거나 손실되고 있습니다. (109쪽)


또한 기계와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 되다 보니, 인간 고유의 창의성이나 독특한 기술을 발휘할 기회가 줄어들 가능성이 커요. (121쪽)


+


《미래 세대를 위한 과학 기술 문해력》(임완수·배성호, 철수와영희, 2025)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복잡합니다

→ 이렇게 물으면 말하기 어렵습니다

→ 이렇게 물으면 골치가 아픕니다

6쪽


목소리의 톤, 뉘앙스나 표정 같은 비언어적 요소를 전달하지 못합니다

→ 목소리, 말결, 얼굴빛은 들려주지 못합니다

→ 목소리, 말빛, 낯빛은 보여주지 못합니다

→ 목소리, 말씨, 얼굴은 밝히지 못합니다

24쪽


이처럼 많은 이점이 있지만

→ 이처럼 여러모로 낫지만

→ 이처럼 많이 나아 보이나

120쪽


자동화는 물질적으로 풍요를 가져다주지만

→ 저절길로 돈을 넉넉히 벌 수 있지만

→ 저절로 하면 돈을 두둑히 벌 테지만

123쪽


과학 기술은 우리 삶을 윤택하게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도전과 문제들을 가져왔습니다

→ 새길로 우리 삶을 넉넉히 키우지만, 부딪히는 일도 수두룩합니다

→ 새롬빛으로 우리 삶이 넉넉하지만, 마주하는 골칫거리도 있습니다

159쪽


다행히도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습니다

→ 아직 우리한텐 틈이 있습니다

→ 아직 우리는 앞날이 있습니다

170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