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여인숙 旅人宿


 변두리의 여인숙에 → 귀퉁이 길손채에

 여인숙의 이불 → 나그네집 이불

 여인숙에서의 노정이 시작된다 → 길손집에서 하루를 연다


  ‘여인숙(旅人宿)’은 “규모가 작고 값이 싼 여관”을 가리킨다지요. ‘곳·자는곳·집’이나 ‘자리·잠자리’로 손봅니다. ‘잠집·잠터·잘곳·잘자리·잘집·잘터’나 ‘길손집·길손채’로 손볼 만합니다. ‘나그네집·나그네채’나 ‘나들채·나들칸’으로 손보지요. ‘마실집·마실채’나 ‘손님집·손님채’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법률 제정에 의해 여인숙이 실제로 개선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길을 세워서 길손집을 참말로 손보는 일은 거의 없다

→ 틀을 세워서 길손채가 조금이나마 나아지는 일은 거의 없다

→ 밑틀로 손님채를 조금이나마 고치는 일은 거의 없다

《코끼리를 쏘다》(조지 오웰/박경서 옮김, 실천문학사, 2003) 146쪽


머물렀던 집은 원래 여인숙이었다

→ 머물던 집은 워낙 길손집이다

《제주 북쪽》(현택훈, 21세기북스, 2021) 17쪽


여인숙이야. 민박이라기보다 레스트하우스 같은 곳

→ 나들채야. 마을집보다 쉼터 같은

→ 길손채야. 고을집보다 쉬는터 비슷한

《안녕, 아름다운 날 4》(아카네다 유키/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22) 8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