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감촉


 비의 감촉을 상상하면서 → 비느낌을 떠올리면서 / 비맛을 그리면서

 너의 감촉을 → 네 손길을 / 네 숨결을 / 네가 만지는

 돌의 감촉은 → 돌에 닿으면 / 돌을 만지면 / 돌느낌은


  ‘감촉(感觸)’은 “외부의 자극이 피부 감각을 통하여 전해지는 느낌 ≒ 촉감(觸感)”을 가리킨다고 해요. ‘-의 + 감촉’ 얼개라면 ‘-의’를 털고서 ‘결·느낌·늧’으로 고쳐쓸 만하고, ‘닿다·만지다·쓰다듬다·자라다’로 고쳐써도 됩니다. ‘길·끗·맛’이나 ‘손·손길·손맛·손매’로 고쳐쓰지요. ‘손때·손타다·손살림·손차림’으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숨·숨결·숨빛·숨꽃·숨통·숨소리’로 고쳐쓸 만하고요. ㅍㄹㄴ



풀의 감촉이 달라지고 점점 무성해지는가 싶더니, 어느덧 강가에 도착했다

→ 풀결이 달라지고 차츰 짙어지는가 싶더니, 어느덧 냇가에 닿았다

→ 풀 느낌이 달라지고 더 우거지는가 싶더니, 어느덧 냇가에 이르렀다

《우리 이웃 이야기》(필리파 피어스/햇살과나무꾼 옮김, 논장, 2011) 89쪽


바람의 감촉을 통해 우리에게 말을 걸지

→ 바람결로 우리한테 말을 걸지

→ 바람 숨결로 우리한테 말을 걸지

《해수의 아이 5》(이가라시 다이스케/김완 옮김, 애니북스, 2013) 302쪽


나무의 감촉을 느꼈습니다

→ 나무결을 느꼈습니다

→ 나무를 느꼈습니다

《달팽이》(에밀리 휴즈/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24) 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