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전쟁의
전쟁의 참화를 딛고서 → 불바다 잿더미를 딛고서
전쟁의 의미란 → 싸우는 뜻이란 / 죽음길 뜻이란
전쟁의 상처가 깊다 → 피바다 생채기가 깊다
‘전쟁(戰爭)’은 “1.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 군려·병과·병혁·전역·전화 2. 극심한 경쟁이나 혼란 또는 어떤 문제에 대한 아주 적극적인 대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풀이를 합니다. ‘전쟁 + -의’ 얼개라면 ‘-의’부터 털고서 ‘싸우다·싸움판’이나 ‘겨루다·겨룸판’이나 ‘다투다·다툼판’으로 고쳐씁니다. ‘사납다·사납터·아귀다툼·물고물리다’나 ‘쏘다·쏘아대다·찌르다’로 고쳐쓸 만하고, ‘불구덩이·불굿·불마당·불수렁·불바다·불바람’이나 ‘불타오르다·타다·잿더미’로 고쳐쓸 만해요. ‘맞서다·맞붙다·붙다·옥신각신·티격태격·치고받다·치다·쳐내다’나 ‘죽음길·죽음빛·수렁’이나 ‘피비린내·피바다·피무덤·피밭·피투성이·피다툼·피싸움’으로 고쳐써도 되어요. ㅍㄹㄴ
적을 섬멸시켜 버리는 데 있어서는 악마적일 만큼 철저한 작전을 구사해 나가는 전쟁의 천재
→ 놈을 무찔러 버릴 적에는 무시무시할 만큼 꼼꼼히 펼쳐 나가는 싸움꾼
→ 놈을 박살내 버릴 적에는 무서울 만큼 빈틈없이 다잡아 나가는 싸움꽃
→ 놈을 족쳐 버릴 적에는 끔찍할 만큼 구석구석 꾀를 내는 싸움바치
《안녕! 미스터 블랙 3》(황미나, 서화, 1991) 101쪽
선전포고도 없이 점차 참화 속으로 빨려들어간 그 전쟁의 첫 해가 1937년입니다
→ 말도 없이 차츰 불바다로 빨려들어간 싸움터 첫 해가 1937년입니다
→ 한마디 없이 어느새 싸움불밭으로 빨려들어간 첫 해가 1937년입니다
《십대를 위한 다섯 단어》(요시모토 다카아키/송서휘 옮김, 서해문집, 2015) 16쪽
박정희는 성장이라는 전쟁의 맨 선두에 서서 이 전쟁을 지휘하는 장군 행세를 했다
→ 박정희는 잘살기라는 싸움 맨 앞에 서서 이끌었다
→ 박정희는 크게 된다는 싸움에서 가장 앞에 선 우두머리였다
→ 박정희는 발돋움이라는 싸움 꼭대기에 서는 꼭두쇠 노릇을 했다
《촛불철학》(황광우, 풀빛, 2017) 22쪽
전쟁의 희생자를 기리는 평화의 전당을 짓고 싶었습니다
→ 불바다 죽음을 기리는 나눔터를 짓고 싶었습니다
→ 불굿에 죽은 넋을 기리는 쉼터를 짓고 싶었습니다
《달팽이》(에밀리 휴즈/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24) 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