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개념 槪念
개념을 이해하다 → 뜻을 알다 / 얼개를 헤아리다
사회에 대한 개념이 생긴다 → 삶터를 알 수 있다 / 터전을 읽는다
돈에 대한 개념이 없다 → 돈을 잘 모른다
개념을 규정하다 → 뜻을 밝히다
미(美)의 개념을 정의하다 → 아름다움을 밝히다 / 아름다움을 풀이하다
‘개념(槪念)’은 “1.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2. [사회] 사회 과학 분야에서, 구체적인 사회적 사실들에서 귀납하여 일반화한 추상적인 사람들의 생각. 예를 들어 사람들이 많이 시청하는 프로그램을 재미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때, ‘재미있는 프로그램’이라는 개념이 생기게 된다 3. [철학] 여러 관념 속에서 공통된 요소를 뽑아내어 종합하여서 얻은 하나의 보편적인 관념. 언어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판단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이나 판단을 성립시키기도 한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뜻·결·생각’으로 풀어낼 만한데, ‘얼개·얼거리·짜임·짜임새·짜임결’로 풀어내어도 어울립니다. ‘길·길눈·길꽃’이나 ‘글읽기·글읽눈·글읽꽃’으로 풀고, ‘꾸밈새·꾸밈결’이나 ‘넋·얼·느끼다’로 풀어 봅니다. ‘마음·마음길·마음밭·마음빛’이나 ‘말·말뜻·글뜻·얘기·이야기’로 풀 수 있어요. ‘밑·밑동·밑감·밑거리·밑길·밑뜻’이나 ‘밑바탕·밑절미·밑꽃·밑틀·밑판’이나 ‘바탕·보다·빛·뼈대·줄거리·줄기’로 풀지요. ‘틀·틀거리·판’이나 ‘알다·앎꽃·앎빛’으로 풀어냅니다. ‘읽다·헤아리다·밝히다·풀이하다’나 ‘삶읽기·삶눈·살림눈’으로 풀고요. ‘소·소리·숨·숨결·숨빛’이나 ‘씨·씨말·씨앗말·씨알·씨앗’으로 풀어도 됩니다. ㅍㄹㄴ
단세포적 부분 개념이 아니라
→ 낱낱이 아니라
→ 낱을 보기보다는
→ 그냥 생각하지 않고
《박정희의 유산》(김재홍, 푸른숲, 1998) 355쪽
불법주차라는 개념은 이 나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 마구댄다는 생각은 이 나라에는 없다
→ 막선다는 말은 이 나라에는 있지 않다
《그대는 이 나라를 사랑하는가》(사기사와 메구무/김석희 옮김, 자유포럼, 1999) 117쪽
‘특례’라는 단어에 포함되는 특혜가 사라지고 평준화만 고려된 개념
→ ‘따로’라는 낱말에 깃든 덤이 사라지고 고르게만 살핀 길
→ ‘꽃덤’이라는 말에 담긴 덤이 사라지고 똑같이 헤아린 길
《나는 공돌이》(전창훈, 참솔, 2004) 145쪽
비록 자연조건이 ‘우리’와 반대되는 개념의 존재는 아니라 할지라도
→ 비록 해바람비가 ‘우리’와 다르지 않다 할지라도
→ 비록 들내숲이 ‘우리’와 거꾸로가 아니라 할지라도
《나를 찾아서》(하일지, 민음사, 2006) 223쪽
인도 정부는 비폭력이란 개념을 지향해 왔습니다
→ 인도는 맨손이란 길을 걸어 왔습니다
→ 인도는 맨몸이란 삶을 바라보며 왔습니다
→ 인도는 참고요란 빛을 보며 걸었습니다
《시대의 양심 20인 세상의 진실을 말하다》(데이비드 바사미언/강주헌 옮김, 시대의창, 2006) 145쪽
평생직장의 개념 속에서 큰 어려움없이 살아갈 수 있었다
→ 온삶일터란 생각으로 그리 어렵잖게 살아갈 수 있었다
→ 온일터로 여기며 퍽 어렵잖게 살아갈 수 있었다
《중년의 사회학》(정성호, 살림, 2006) 84쪽
창작이라는 개념은 아직도 고상한 아우라를 듬뿍 뒤집어쓰고 있다
→ 지음이라고 하면 아직도 곱상한 빛을 듬뿍 뒤집어쓴다
《크로스 : 정재승 + 진중권》(정재승·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2009) 48쪽
하지만 우리나라의 비정규직은 일의 형태라기보다는 착취의 개념이지요
→ 그렇지만 우리나라 틈새자리는 일자리라기보다는 우려내기이지요
→ 그러나 우리나라 틈일자리는 일자리라기보다는 빼앗는 얼개이지요
→ 그런데 우리나라 사잇자리는 일자리라기보다는 벗겨먹는 굴레이지요
《실패로부터 배운다는 것》(심상정, 웅진지식하우스, 2013) 118쪽
이야기 없이 어떻게 에너지, 분자, 지질층, 상관관계 같은 새로운 개념들을 소개할 수가 있겠는가
→ 이야기 없이 어떻게 기운, 톨, 땅빛, 서로얽힘 같은 새로운 길을 들려줄 수가 있겠는가
《양자우연성》(니콜라스 지생/이해웅·이순칠 옮김, 승산, 2015) 50쪽
인류 역사상 최초의 시인이 탄생한 것은 인간이 최초로 개념을 발견한 그 순간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 사람이 살며 처음으로 노래님이 태어난 때는 사람이 처음으로 생각을 찾아낸 그때라고
《낙타는 십 리 밖 물 냄새를 맡는다》(허만하, 최측의농간, 2016) 232쪽
젊은 나이에 이러한 개념을 설명하는 기념비적인 논문을 썼다
→ 젊은 나이에 이러한 뜻을 밝히는 엄청난 글을 썼다
→ 젊은 나이에 이러한 길을 다루는 놀라운 글자락을 썼다
→ 젊은 나이에 이러한 밑동을 따지는 훌륭한 글월을 썼다
→ 젊은 나이에 이러한 바탕을 얘기하는 대단한 글을 썼다
《양자역학 7일 만에 끝내기》(후쿠에 준/목선희 옮김, 살림Friends, 2016) 74쪽
식물이 처음 만들어내는 진정한 의미의 새 이파리는 새로운 개념이다
→ 푸나무가 내놓는 잎은 그야말로 새롭다
→ 풀과 나무에 돋는 잎은 참으로 새롭다
《랩걸》(호프 자런/김희정 옮김, 알마, 2017) 96쪽
이야기라는 속성 자체가 시제의 개념이 있고
→ 이야기에는 이미 때가 깃들고
《닥치는 대로 끌리는 대로 오직 재미있게 이동진 독서법》(이동진, 예담, 2017) 125쪽
저작권 개념이 없는 출판사가
→ 그림몫 생각이 없는 펴냄터가
→ 그림삯을 생각 않던 펴낸곳이
→ 지음몫을 아예 모른 펴는곳이
《한국 순정만화 작가 사전》(조영주, 파사주, 2018) 46쪽
동물복지에 대한 개념을 가진 사람이
→ 짐승살림을 아는 사람이
→ 짐승길을 헤아리는 사람이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의 죽음》(하재영, 창비, 2018) 98쪽
다시 본래의 독립영화 개념으로 돌아가서
→ 다시 작은그림 얘기를 하자면
→ 혼그림 이야기를 다시 하자면
《창작수업》(변영주, 창비, 2018) 17쪽
말하자면 홈스테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 말하자면 집밤하고 비슷한 얼개로
→ 말하자면 집에서 묵는다 할 수 있어
《북한 여행 회화》(김준연·채유담, 온다프레스, 2019) 63쪽
평온하게 살아갈 수 있는 종합적 환경을 아우르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그 뜻이 넓어지고 있어요
→ 조용히 살아갈 수 있는 터전을 아우르는 말로 뜻을 넓혀요
→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터를 두루 헤아리는 말로 뜻을 넓혀요
→ 조용히 살아갈 수 있는 자리를 모두 살피는 말로 뜻을 넓혀요
《선생님, 평화가 뭐예요?》(배성호·김규정, 철수와영희, 2019) 18쪽
감정이입은 소설을 설명할 때 빠지지 않는 개념이다
→ 마음읽기는 지음글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다
→ 마음담기는 꾸밈글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다
→ 마음쓰기는 글을 지을 때 빠지지 않는 말이다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김탁환, 해냄, 2020) 169쪽
최근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산림욕이라고 부르는 개념이 서구에서도 대중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 요즘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숲씻이라고 하는 길이 하늬녘에서도 눈길을 끈다
《야생의 위로》(에마 미첼/신소희 옮김, 푸른숲, 2020) 17쪽
평소 흔하게 보던 것의 개념을 바꿔 보고 싶었다고 할까
→ 흔하게 보던 틀을 바꿔 보고 싶다고 할까
→ 늘 보던 모습을 바꿔 보고 싶다고 할까
《매일 휴일 3》(신조 케이고/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69쪽
어떤 개념이 줄어든다는 건 사람들이 그걸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이잖아요
→ 어떤 뜻이 줄어든다면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이잖아요
→ 어떤 밑감이 줄어든다면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이잖아요
《왜 우리는 차별과 혐오에 지배당하는가?》(이라영과 여섯 사람, 철수와영희, 2024) 2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