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006 : 행복했으면 좋겠
나는 네가 행복했으면 좋겠어
→ 나는 네가 잘살기를 바라
→ 나는 네가 즐거우면 돼
→ 나는 네가 기쁘면 넉넉해
《털가죽과 솜뭉치 1》(루이케 우미/윤보라 옮김, 대원씨아이, 2025) 119쪽
입버릇처럼 흔히 쓰는 ‘행복’이지만 오히려 이 한자말을 쓸수록 기쁘거나 보람있거나 즐겁거나 흐뭇한 길하고 멀리 가는구나 싶습니다. 다 다른 때와 곳에서 다 다르게 ‘기쁘다·즐겁다·반갑다·고맙다·설레다·흐뭇하다·신나다·들뜨다·벅차다·부풀다·가볍다·홀가분하다·아름답다·보람차다·반짝이다’ 같은 낱말을 찬찬히 가려서 쓸 노릇입니다. “행복했으면 좋겠어”는 잘못 쓰는 말씨이기도 합니다. ‘-했으면’은 이미 일어난 일을 가리키는 말씨인데, ‘-겠어’는 앞으로 일어날 일을 가리키는 말씨예요. 둘이 부딪힙니다. 우리말씨로는 “잘살기를 바라”나 “즐거우면 돼”로 가다듬을 만합니다. 바로 오늘 이곳에서 어떤 마음인지 차분히 드러낼 적에 비로소 기쁘고 넉넉한 길에 서게 마련입니다. ㅍㄹㄴ
행복(幸福) :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