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요? ㅣ 베틀북 그림책 34
토니 로스 그림, 린제이 캠프 글, 창작집단 바리 옮김 / 베틀북 / 2002년 10월
평점 :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8.29.
그림책시렁 1510
《왜요?》
린제이 캠프 글
토니 로스 그림
바리 옮김
베틀북
2002.10.15.
숱한 어른은 아이가 왜 “왜?” 하고 묻는지 잊거나 모릅니다. 아이는 몰라서 묻지 않습니다. 아이는 아이 나름대로 알기에 묻습니다. 아이는 “아이로서 내가 아는 길”하고 “어른으로서 네가 아는 길”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기에 묻지요. 《왜요?》에 나오는 아이는 늘 묻습니다. 늘 묻는다는 말은, 늘 지켜본다는 뜻이고, 늘 생각한다는 뜻이며, 늘 알아본다는 뜻입니다. 안 지켜보고 안 생각하고 안 알아보는 아이는 아예 안 묻습니다. 이때에는 그저 “네.” 하고 끝입니다. 물을 줄 알기에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묻고 되묻기에 자꾸자꾸 길을 헤아리고 짚으면서 생각을 폅니다. 남이 시키는 대로 졸졸 좇는 아이는 안 물어요. 그저 멍하니 따라갑니다. 오늘날 배움불굿(입시지옥)은 아이들이 ‘엄마·아빠·밥’ 다음으로 즐기는 말씨인 ‘왜’를 빼앗습니다. 아이들은 왜 우리말도 안 익숙한데 영어를 이토록 일찍 배워야 하는지 알까요? 아이들은 왜 뛰어놀 데는 하나도 없지만 쇠(자동차)를 끔찍하도록 길바닥이며 빈터에 가득 채우는지 알까요? 아이들은 왜 온나라가 서로 갈라치기를 하며 싸워대는지 알까요? 아이들은 왜 뭇나라 우두머리가 총칼을 무시무시하게 늘리면서 으르렁거리는지 알까요? 이제 우리는 어른으로서 아이곁에 앉아서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하고 묻고서, “이 일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 하고 귀여겨들을 노릇입니다.
#Why? #LindsayCamp #TonyRoss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