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8.25.
《서점은 왜 계속 생길까》
이시바시 다케후미 글/박선형 옮김, 유유, 2021.7.14.
부산사상에서 서울남부로 가는 07:00 시외버스를 탄다. 칙폭길에 대면 오래 걸린다 할 테지만, 단돈 3만 원에 느긋이 자다가 글쓰다가 책읽으며 갈 수 있는 호젓한 길이다. 양천구 신월동 〈열두달책방〉을 들러서 책을 읽고서, 까치산나루 곁에 있는 ‘호텔 S’로 간다. 하룻밤 56000원인 잠삯이되 14시부터 들어갈 수 있으니 일찌감치 깃들어 등허리를 편다. 18:40에 눈을 번쩍 뜨고서 바지런히 〈악어책방〉으로 달려간다. 소나기가 오락가락하지만, 비를 뿌릴 적에는 해받이 밑에서 비를 긋다가, 비가 그치면 다시 걷는다. 이달 ‘마음글쓰기’는 ‘심어본다’랑 ‘토론’ 두 낱말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서점은 왜 계속 생길까》를 읽었다. 갈수록 책님이 줄어든다고 여기지만, 새롭게 책님으로 다가서는 분도 많다. 처음에는 이름책이나 오래책을 꼭 읽어야 한다고 여기다가도, 스스로 배움길을 일구는 길동무로 삼는 책을 쓰면 되는 줄 알아차리는 분이 는다. 이제는 새뜸(언론)을 들여다볼 까닭이 없이, 누리책집에 올라오는 새책을 살피면 된다. 누리책집은 새로 나오는 거의 모든 책을 그저 줄줄이 알리니, 이 가운데 손수 품을 책을 헤아려서 마을책집에서 느긋이 만나면 된다. 작은찻집과 작은살림집과 작은텃밭이 늘어나야 온누리가 아름답듯, 작은책집이 새롭게 태어나야 이 나라가 아름답다.
#本屋がアジアをつなぐ #石橋毅史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