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일상생활
일상생활에 큰 지장은 없는 → 지내기에 크게 어렵지 않은 / 살림에 크게 벅차지 않은
허리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편하다 → 허리가 아파 지내기 힘들다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 바쁜 하루에 / 바쁜 나날에
일상생활에 복귀하기 위해서는 → 여느때로 돌아가려면 / 여느삶으로 돌아가려면
일상생활(日常生活) : 평상시의 생활 ≒ 속생활
여느 삶을 가리키는 낱말이라면 ‘여느삶’처럼 지을 만합니다. ‘여느·여느곳·여느때·여느일’이라 해도 되어요. 흐름을 살펴 ‘늘·노상·곧잘·언제나’를 쓸 만하고, ‘지내다·살다’나 ‘살림·삶·-살이·먹고살기’라 할 수 있어요. ‘하루·하루하루·날·나날·오늘’이나 ‘나날살이·그날그날·날마다·나날이’로 풀어낼 때도 있습니다. ‘가볍다·그렇게·그뿐·이뿐·그토록·그야’나 ‘길·꼬박꼬박·끊임없이·끼치다·미치다’로 풀고, ‘마련·마땅하다·많다·물들다·뻔질나다’나 ‘버젓이·번지다·뻗다·퍼뜨리다·퍼지다’로 풀어냅니다. ‘서리다·섞다·수두룩·수북하다·수수하다’나 ‘수월하다·숱하다·쉽다·되풀이·보나 마나’로 풀 만하지요. ‘스미다·심다·심심찮다·심심하다·빠짐없이’나 ‘아무것 아니다·앉으나 서나·알다시피·알 만하다’로 풀어도 어울리고, ‘얘기·이야기·어김없다·여태 하다·으레·오롯이’나 ‘이승·이어가다·이제나 저제나·일삼다·일쑤·잇다·잇달아’로 풀면 되어요. ‘자꾸·자나 깨나·자리잡다·자주·잔뜩·잦다·-쟁이’나 ‘족족·좋다·즐기다·차지하다·쳇바퀴’로 풀어 줍니다. ‘털털하다·턱·톡·툭·툭하면·통틀다’나 ‘틀림없다·판치다·풍기다·헤아릴 길 없다’로 풀지요. ‘하나되다·하다·하나둘셋넷·-하러·한결같다’나 ‘한누리·한살이·한삶·허구헌날·흐르다·흔하다’로 풀 만하고요. ㅍㄹㄴ
일상생활에서 부딪치게 되는 상황들을 평가하는 독특한 방법에 대한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
→ 날마다 부딪치는 일을 남달리 따지는 길을 든든히 가꾼다
→ 늘 부딪치는 일을 남달리 헤아리는 길을 단단히 다진다
→ 여느삶에서 부딪히는 일을 새롭게 살피는 눈이 생긴다
《불완전한 인간》(H.웨이신저·N.롭센즈/임한성 옮김, 청하, 1986) 19쪽
그림책은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늘 보아 온 것을 확대경으로 비춰 보았을 때 신선한 발견과 놀라움을 얻는 것과 같은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그림책은 아이가 늘 보아 온 모습을 돋보기로 비춰 보았을 때 새롭게 알아차리며 놀랍다고 느끼는 배움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 그림책은 어린이가 늘 누려 온 삶을 돋보기로 비춰 보았을 때 새롭게 알아차리며 놀랍다고 느끼는 이야기 같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이와 그림책》(마츠이 다다시/이상금 옮김, 샘터, 1990) 172쪽
‘짜리몽땅하다’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말이지만
→ ‘짜리몽땅하다’는 널리 쓰는 말이지만
→ ‘짜리몽땅하다’는 여느삶에 퍼진 말이지만
《우리말 소반다듬이》(권오운, 문학수첩, 2011) 248쪽
집에서 일어나는 일상생활에 대한 이야기라면 뭐든지 괜찮아
→ 집에서 일어나는 하루 이야기라면 뭐든지 좋아
→ 집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라면 뭐든지 돼
《존경합니다, 선생님》(페트리샤 폴라코/유수아 옮김, 아이세움, 2015) 3쪽
일상생활을 영위하기에는 충분했고
→ 살림을 꾸리기에는 넉넉했고
→ 먹고살기에는 넉넉했고
《탈향과 귀향 사이에서》(허쉐펑/김도경 옮김, 돌베개, 2017) 50쪽
나를 포함해서 기성세대는 권리보다 의무에 익숙하고, 일상생활 속 정치적 권리에 둔감한 편이란다
→ 나를 비롯해서 어른들은 몫보다 일거리에 익숙하고, 삶에서 받을 몫에 무디단다
→ 나를 비롯해서 어른들은 누리기보다 짐에 익숙하고, 그날그날 잘 못 누린단다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이임하, 철수와영희, 2017) 20쪽
일상생활에서와 똑같습니다
→ 늘 똑같습니다
→ 여느때와 똑같습니다
→ 언제나 똑같습니다
《시모어 번스타인의 말》(시모어 번스타인·앤드루 하비/장호연 옮김, 마음산책, 2017) 60쪽
나무 12종의 일생생활, 즉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씨를 퍼뜨려 싹을 틔우고 자라는 과정을 담았다
→ 열두 나무 삶, 곧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씨를 퍼뜨려 싹을 틔우고 자라는 길을 담았다
→ 나무 열두 가지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씨를 퍼뜨려 싹을 틔우고 자라는 삶길을 담았다
→ 열두 나무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씨를 퍼뜨려 싹을 틔우고 자라는 한살이를 담았다
《나무의 마음에 귀 기울이다》(세이와 겐지/양지연 옮김, 목수책방, 2018) 14쪽
일상생활에서의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통감하게 되었다
→ 여느때에 어떻게 했느냐가 얼마나 큰가를 깨달았다
→ 하루를 어떻게 살았느냐가 얼마나 대수로운가를 알았다
→ 늘 보이는 몸짓에 따라 얼마나 달라지는가를 크게 느꼈다
《아들이 사람을 죽였습니다》(아베 교코/이경림 옮김, 이너북스, 2019) 75쪽
일상생활은 전부 알아서 했기 때문에
→ 살림은 모두 알아서 했기 때문에
→ 삶은 다 알아서 했기 때문에
《고물 로봇 퐁코 1》(야테라 케이타/나민형 옮김, 소미미디어, 2020) 18쪽
나무 내음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 깊이 스며 있다
→ 나무 내음은 우리 삶에 스민다
→ 우리 삶은 나무 내음이 깊다
《나무 내음을 맡는 열세 가지 방법》(데이비드 조지 해스컬/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2024) 8쪽
일상생활이 더욱 불편해질 것이다
→ 하루가 더욱 지치게 마련이다
→ 삶이 더욱 괴롭고 만다
《뒤섞인 말이》(조남숙, 월간토마토, 2024) 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