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후유증 後遺症


 과로의 후유증으로 → 힘들게 일한 탓으로 / 고되게 일한 나머지

 후유증이 심각하다 → 뒷멀미가 모질다 / 뒤앓이가 크가

 후유증을 호소하다 → 뒤앓이를 하소연하다

 교통사고 후유증 → 길다침 뒤앓이


  ‘후유증(後遺症)’은 “1. [의학] 어떤 병을 앓고 난 뒤에도 남아 있는 병적인 증상. 뇌중풍에서의 손발 마비, 뇌염에서의 정신적·신체적 장애 따위이다 2. 어떤 일을 치르고 난 뒤에 생긴 부작용”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뒤에도 남아서 아픈 일을 가리키니 ‘뒤앓이·뒤아픔’이나 ‘뒤울림·뒷멀미·뒤끝’이라 하면 됩니다. ‘고름·곯다·곪다’나 ‘앓다·앙금’이라 할 수 있어요. ‘가슴앓이·마음앓이·마음멍’이나 ‘멍·멍들다·멍울·멍꽃·멍울꽃’이라 해도 어울려요. ‘맺다·맺히다’나 ‘빨갛다·뻐근하다’라 하면 되어요. ‘찌꺼기·티끌’이나 ‘피나다·피눈물·피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ㅍㄹㄴ



말 안 하고 삭힌 감정은 아무 후유증이 없어?

→ 말 안 하고 삭힌 마음은 아무 뒷멀미가 없어?

→ 말 안 하고 삭힌 마음은 아무 뒤끝이 없어?

→ 말 안 하고 삭힌 마음은 아무 뒤앓이가 없어?

《설희 2》(강경옥, 팝콘, 2008) 157쪽


코사카 씨한테 진 후유증으로밖에 안 보이는데요

→ 코사카 씨한테 진 뒤끝으로밖에 안 보이는데요

→ 코사카 씨한테 진 뒤앓이로밖에 안 보이는데요

《다카스기 家의 도시락 5》(야나하라 노조미/채다인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2) 51쪽


그 후유증으로 아직까지 숨이 차고

→ 그 뒤앓이로 아직까지 숨이 차고

→ 그 뒤끝으로 아직까지 숨이 차고

《꿈결에 시를 베다》(손세실리아, 실천문학사, 2014) 26쪽


당장 먹을 게 없는 사람들이 5∼10년 뒤 피폭 후유증을 감수한 채 일에 뛰어든다

→ 바로 먹을 게 없는 사람들이 5∼10년 뒤 피폭 뒤앓이를 짊어진 채 일에 뛰어든다

《한국 원전 잔혹사》(김성환·이승준, 철수와영희, 2014) 130쪽


현장학습의 후유증은 대단하다

→ 배움마실 뒷멀미는 대단하다

→ 배움마실 뒤앓이는 대단하다

《우연히 만난 그 길》(시흥 어린이, 삶말, 2017) 77쪽


저 동네는 아직도 후유증이 가시지 않았어

→ 저 마을은 아직도 뒤앓이가 가시지 않았어

→ 저 마을은 아직도 뒷멀미가 가시지 않았어

《열두 살 삼촌》(황규섭·오승민, 도토리숲, 2017) 90쪽


후유증이 이렇게 좋은 생각을 주기도 한다

→ 앓다가 이렇게 생각이 나기도 한다

→ 멍울꽃이 이렇게 열매를 맺기도 한다

→ 곪았지만 이렇게 새로 피어나기도 한다

《뒤섞인 말이》(조남숙, 월간토마토, 2024) 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