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8. 이름없는



  “이름없는 풀”은 없습니다. “이름모를 풀”도 없습니다. 우리 곁에 있는 풀과 나무와 벌레와 새한테 다 다르게 이름이 있습니다. 시골에서 살림하는 사람들이 저마다 스스로 마주하면서 느끼고 생각한 마음을 담아서 붙인 이름이 있어요. 오랜 옛날부터 들숲메바다를 품고서 살림을 지은 사람들이 몸소 바라보고 느끼고 살핀 마음으로 붙인 이름이 있습니다. 한자말로 하자면 ‘무명화·무명초’는 없어요. 우리가 스스로 이름을 알아보려고 하지 않기에 “아직 이름을 모르는 풀꽃나무”라고 해야 맞습니다. “아직 이름을 묻지 않았기에 이름을 알 길이 없는 풀꽃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곁에 있는 숱한 사람들한테 저마다 이름이 있어요. “이름없는 사람”이나 “이름모를 사람”은 없어요. 언제나 우리가 스스로 물어볼 노릇입니다. 늘 우리가 몸소 다가설 일입니다. 지켜보거나 들여다보면서 눈길과 눈길이 만나요. 두 눈길이 닿으면서 숨결이 이어요. 숨결이 잇는 사이에 따사롭고 너그럽게 바람이 일어요. 한 발 가까이 다가갑니다. 풀꽃 곁에 쪼그려앉습니다. 나무줄기를 어루만지다가 뺨을 댑니다. 팔을 뻗어서 팔등에 나비를 앉힙니다. 걷다가 멈춰서 풀벌레가 베푸는 노랫가락에 귀를 기울입니다. 서로 가까이 있기에 숨소리를 읽습니다. 서로 멀리 있어도 숨꽃을 헤아립니다. 내가 너한테 이르고, 네가 나한테 이릅니다. 마음을 얹은 소리인 말로 이르고, 사뿐사뿐 즐겁게 내딛는 발걸음으로 오늘 이곳에 이릅니다. 둘이 나란히 이르니 비로소 ‘이름’이 깨어나고 태어나고 피어나고 솟아납니다.



이름없는


“이름이 뭐니?” 하고 물으면

“글쎄, 네가 생각해 봐.”

“이름을 알려줘.” 하고 되물으면

“네가 생각하는 대로 불러.”


“이름없는 꽃이 어디 있니?” 하면

“그러니까 네가 지어 주렴.”

“내가 아무렇게나 지어도 돼?” 하니

“아니, 사랑으로 지어 줘.”


“널 가리키는 이름 있잖아?” 하니

“난 네가 지을 이름이 궁금해.”

“난 이름 잘 못 짓는데.” 하니까

“그냥 마음으로 보고 느껴 봐.”


“그냥 알려주면 안 되니?” 하는 말에

“그저 네 눈빛으로 품으면,

  네가 늘 즐겁게 만나고 싶으면,

  그 생각대로 이름이 피어나.”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