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목소리


 너의 목소리 → 네 목소리

 할머니의 목소리 → 할머니 목소리


  ‘-의 + 목소리’ 얼개에서는 ‘-의’를 덜기만 하면 됩니다. 때로는 말짜임을 손질해서 “너의 목소리는 좋았다”를 “너는 목소리가 좋았다”처럼 쓸 만합니다. “저쪽의 목소리는 신났다”라면 “저쪽 목소리는 신났다”나 “저쪽은 신나는 목소리였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미유키의 목소리에 겹쳐서

→ 미유키 목소리에 겹쳐서

《꼴찌천사》(오카다 준/손미선 옮김, 가람문학사, 2001) 98쪽


건너편의 목소리는 울먹이고 있었다

→ 건너쪽 목소리는 울먹였다

→ 건너켠에서는 울먹였다

→ 건너에서는 울먹이는 목소리였다

《인생이라는 이름의 여행》(고히야마 하쿠/양억관 옮김, 한얼미디어, 2006) 75쪽


라, 라, 라, 음의 목소리로 말하는 손

→ 라, 라, 라, 가락 목소리로 말하는 손

《그 사이에 대해 생각할 때》(강미정, 문학의전당, 2008) 30쪽


누구의 목소리도 듣지 못했다

→ 누구 목소리도 듣지 못했다

→ 누가 찾는 소리도 못 들었다

→ 아무런 목소리도 듣지 못했다

→ 아무 목소리도 듣지 못했다

→ 어떠한 목소리도 듣지 못했다

→ 사람 목소리도 듣지 못했다

《신들이 사는 숲 속에서》(오카 슈조/김정화 옮김, 웅진주니어, 2010) 59쪽


그의 목소리는 부드러웠어요

→ 그는 목소리가 부드러웠어요

→ 그 사람은 목소리가 부드러웠어요

→ 목소리는 부드러웠어요

《새내기 유령》(로버트 헌터/맹슬기 옮김, 에디시옹 장물랭, 2016) 4쪽


활짝 터져 나오는 꽃들의 목소리가

→ 활짝 터져 나오는 꽃들 목소리가

→ 활짝 터져 나오는 꽃소리가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아, 사랑해!》(줄리 폴리아노·줄리 모스태드/최현빈 옮김, 찰리북, 2017) 11쪽


엄마의 성난 목소리가 직구로 날아왔다

→ 성난 엄마 목소리가 바로 날아왔다

→ 성난 엄마 목소리가 곧장 날아왔다

→ 엄마는 곧바로 성이 났다

→ 엄마는 왈칵 성을 냈다

《세상에, 엄마와 인도 여행이라니!》(윤선영, 북로그컴퍼니, 2017) 68쪽


꼬마 쥐의 목소리가 들립니다

→ 꼬마 쥐 목소리가 들립니다

《오늘 참 예쁜 것을 보았네》(모리야마 이야코·타카하시 카즈에/박영아 옮김, 북극곰, 2018) 27쪽


카로의 목소리가

→ 카로 목소리가

《눈구름 사자》(짐 헬모어·리처드 존스/공경희 옮김, 웅진주니어, 2018) 20쪽


언론에서 올바름은 ‘목소리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 또는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것’이에요

→ 올바른 붓은 ‘목소리 없는 사람들한테 목소리가 되기’ 또는 ‘여린이 목소리가 되기’예요

→ 붓은 ‘목소리 없는 사람들 곁에 있기’ 또는 ‘여린이 목소리를 내기’여야 올발라요

《선생님 미디어가 뭐예요?》(손석춘, 철수와영희, 2019) 45쪽


친구들의 목소리가 점점 멀어지고 있어요

→ 동무들 목소리가 차츰 멀어요

→ 동무들 목소리가 이제 멀리서 들려요

《거인의 정원》(최정인, 브와포레, 2021) 9쪽


유리오의 목소리가 신호였을까

→ 유리오 목소리 때문일까

→ 유리오 목소리를 들어서일까

《식물기》(호시노 도모유키/김석희 옮김, 그물코, 2023) 13쪽


울타리 건너편에서 소리를 부르는 엄마의 목소리가 들렸습니다

→ 울타리 건너에서 엄마가 소리를 부릅니다

→ 울타리 건너에서 엄마가 부릅니다

《피아노》(이세 히데코/황진희 옮김, 천개의바람, 2025) 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