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21. 모든 하루



  오늘쯤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올 노릇이라고 느낀다. 집에 쌓은 책더미를 조금 치운 듯하면서도 썩 티는 안 난다. 느긋하되 미루지 않는 길로 여미자고 생각한다. 시골버스에서는 하루글을 쓰고서 눈을 붙인다. 집부터 읍내까지 15㎞이니 조금은 쉴 만하다. 이제 읍내에서 시골버스를 내린다. 숨을 돌린다. 《모퉁이 책 읽기》(안미선, 이매진, 2016)를 읽으면서 걷는데, 글님 눈금이 어쩐지 여러모로 좁다고 느낀다. 글님은 ‘여자들의 책읽기’를 내건다. 이 이름은 나쁘지 않다. 그런데 ‘페미니즘 책읽기’를 하면서 엮는 줄거리는 자꾸자꾸 ‘가시내인 나만 괴롭’고 ‘가시내인 이웃만 괴롭’다는 쪽으로 흐른다.


  이 나라는 아름답지 않다. ‘나라(정부)’라는 틀을 세운 모든 곳은 하나같이 안 아름답다. ‘나라’일 적에는 나라지기라는 벼슬자리를 놓고서 힘꾼(권력자)이 있고, 돈꾼과 이름꾼이 판친다. 이들은 으레 수수한 살림꾼을 억누르며 괴롭히는데, ‘수수한 살림꾼’은 ‘수수한 순이 + 수수한 돌이’이다. 수수한 자리에 있는 사람은 순이돌이가 나란히 억눌리면서 괴로운 얼거리인 ‘나라(정부)’이다.


  모퉁이에 서거나 모퉁이를 돌아서려고 하는 길에서 손에 쥐는 책이라면, ‘사람으로서 책읽기’를 바라볼 만하다고 본다. ‘아이로서 책읽기’에 ‘어른으로 가는 책읽기’를 이을 만하고, ‘사랑하는 책읽기’에 ‘눈뜨는 책읽기’에 ‘숲빛으로 책읽기’를 펴는 동안, ‘겉몸’을 넘어서며 철드는 눈길을 헤아리면서 늘 새롭게 책과 이야기와 오늘을 누릴 만하다고 느낀다.


  ‘보는 눈금’이란 ‘사는 눈금’이다. ‘사는 눈금’이란, 사람으로서 살림을 사랑으로 여미는 ‘눈’과 ‘금’이다. 거꾸로 볼까? 누가 ‘남자들의 책읽기’를 내건다면 아예 쳐다보고 싶지 않다. ‘남자들의 책읽기’란 얼마나 비좁아터지면서 외곬일까? 낡은 굴레와 틀을 깨부수려고 하는 길에서는 ‘남자들의 책읽기’도 좁게 마련이요, ‘여자들의 책읽기’도 좁을 수밖에 없다. 우리는 ‘우리 함께 책읽기’를 바라볼 때에 스스로 눈을 뜬다. 우리는 ‘서로 헤아리는 책읽기’를 품을 적에 응어리를 풀면서 생각을 틔울 수 있다.


  문득 ‘군대에서 책읽기’는 있을까 하고 헤아려 본다. 거의 웬만한 ‘최전방 육군보병 소총수’는 책을 아예 못 쥐거나 구경조차 못 하면서 이태를 살게 마련이다. 군대에서가 아닌 ‘집에서 집안일하는 책읽기’라면 어떨까? ‘논밭을 돌보는 틈에 책읽기’라든지 ‘지옥철에서 책읽기’나 ‘걸어다니며 책읽기’처럼, 스스로 두 다리로 선 터전에서 스스로 품을 넖히려고 땀흘리면서 그야말로 쪽틈을 살리는 길을 내다볼 적에는, 누구나 언제나 스스로 비로소 바꾼다고 느낀다. 우리는 남을 바꾸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누구나 언제나 스스럼없이 “내가 나를 가꾸기”를 하면 된다.


  토미 드파울라 그림책 《오른발 왼발》은 그저 사랑책이다. 엘사 베스코브 그림책 《펠레의 새옷》은 성평등과 자립을 일깨우는 살림책이다. 바바라 쿠니 그림책 《미스 럼피우스》는 꿈을 씨앗으로 삶에 심는 길을 깨달은 빛책이다. 윌리엄 스타이그 그림책 《생쥐와 고래》는 다 다른 우리가 이 같은 별에서 어떻게 어깨동무하는 사이로 거듭날 만한지 밝히는 노래책이다.


  먼발치가 아닌 집에서 나부터 바꾸면 어느새 마을이 바뀐다. 풀꽃 한 송이가 오르기에 들빛이 푸르다. 나무 한 그루가 오르기에 마을에 숲빛이 번진다. 어느 책이든 안 나쁘되, 조금 더 눈을 틔우려 한다면, 이 하루를 노래하는 책을 알아보면서 글을 여밀 만하다. 모든 하루는 우리한테 다 다르게 배움길이다.


  이제 몽글구름은 다 사라졌다. 제비노래를 못 들은 지 이레가 지난다. 아직 꾀꼬리는 우리집 뒤꼍으로 찾아와서 노래한다. 물까치는 다시 무리지어서 다닌다. 참새도 떼지어 날갯짓을 한다. 첫가을 길목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