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8.15.
《사향고양이의 눈물을 마시다》
이형주 글, 책공장더불어, 2016.11.30.
큰아이가 일어나서 아침길 배웅을 한다. 아침볕이 넉넉한 논두렁을 달려서 옆마을에 닿는다. 07:40 시골버스를 타고서 고흥읍으로 간다. 08:57 부산버스를 기다린다. 빈자리 없는 시외버스는 잘 달린다. 어느새 어디를 오가도 시외버스가 빼곡하다. 이제 모두 잘 돌아다니면서 이웃을 만나는구나 싶다. 사상나루에 내려서 〈무사이〉를 찾아간다. 마을 한켠에 폭 깃든 ‘책집 + 보임터(독립극장)’라니, 놀랍도록 빛나는 길이로구나 싶다. 《사향고양이의 눈물을 마시다》가 처음 나온 지 아홉 해이다. 이 책이 나온 뒤부터 들빛길(동물권)을 다루는 책이 꽤 나왔으나, 이 책만큼 줄거리를 짜서 들려주는 책은 없다고 느낀다. 푸른별에서 사람이 사람으로 살아간다고 할 적에는 ‘사람 = 사랑 + 살림 + 사이’인 줄 안다는 뜻이다. 너와 나로서 사람인 줄 알아보기에, 사람 곁에 ‘뭇숨’인 ‘짐승’이 있는 줄 바라보고 받아들인다. 사람과 짐승은 몸과 삶이 다를 뿐, 푸른별에서 함께 살림을 지으며 사랑을 펴고 나누는 즐거운 이웃이다. 이 대목을 차분히 마음과 몸에 새기면서 바라보려고 할 적에 들빛길을 참하게 풀어낼 만하다. 목소리만 높이거나 앞세워서는 그르친다. 푸르게 어울리면서 서로 사랑을 헤아릴 적에 비로소 눈뜬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