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미술사 ㅣ 동문선 문예신서 90
세키노 타다시 지음, 심우성 옮김 / 동문선 / 2003년 10월
평점 :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8.21.
인문책시렁 448
《조선미술사》
세키노 타다시
심우성 옮김
동문선
2003.10.10.
이모저모 보면 《조선미술사》는 그야말로 하찮습니다. 글쓴이 세키노 타다시는 ‘일본’을 바탕으로 ‘중국·조선’이 어떻게 얽혔는지 읽어내려고 ‘조선 곳곳 옛터’를 파헤쳐서 옛살림(유물)을 캐내었고, 이렇게 캐낸 옛살림을 슬며시 일본으로 가져갔는데, 이러면서 ‘조선 옛자취 깎아내리기’를 일삼았습니다. 이렇게 해야 ‘일본 옛자취’가 치솟는다고 여겼을 테니까요.
눈앞에 버젓이 나온 옛살림을 돌아보면서도 제대로 안 짚는 눈길이 얼마나 뜬금없이 헛말을 펴는지 헤아리는 길잡이로 삼을 만한 《조선미술사》인데, 일본 허수아비뿐 아니라 일본에 빌붙은 앞잡이도 이런 줄거리를 오래도록 폈습니다. 다만, 이런 글은 으레 일본글로만 나왔으니 일본글을 안 읽는 사람은 도무지 모를 만한 대목이요, 심우성 님이 애써 한글로 옮겨주었기에, 우리로서도 이 엉성한 자취를 톺아볼 만합니다.
그런데 《조선미술사》가 들려주는 말 가운데 ‘안 틀린’ 말도 제법 있습니다. 이를테면 “또한 사대주의에 빠져 미술에도 독창성이 결여되어 있고, 시종 중국 예술의 모방에 물들어 있다(70쪽)” 같은 대목인데, 조선 500해에 걸쳐 임금·벼슬아치·나리는 그저 중국을 우러르고 모시면서 수글(중국글·한문)만 썼습니다. 게다가 조선이 무너진 뒤에도 수글(중국한자말·일본한자말)에 얽매였고, 일본이 떠난 1945년 뒤부터 2025년 오늘날까지 이 얼거리는 안 바뀝니다.
얼토당토않은 책이라 하더라도, 우리 옛살림이나 옛자취를 조금은 더듬을 길잡이로 삼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스스로 엉터리로 억눌린 지난 굴레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또한 오늘날까지 우리 스스로 ‘수글’에 사로잡힌 민낯도 엿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한글’과 ‘한말(우리말)’을 써야 하지 않을까요?
ㅍㄹㄴ
또한 사대주의에 빠져 미술에도 독창성이 결여되어 있고, 시종 중국 예술의 모방에 물들어 있다. 그러나 그 가운데 다소 국민성을 보여주는 고유한 특질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70쪽)
1909년 10월에 우리 일행이 구한국 정부의 촉탁을 받아 고적 조사를 하였을 때, 평양의 건너편 강가에 있는 고분을 발굴하기 시작하면서 이것이 낙랑군 시대에 속하는 것임을 알았다. (76쪽)
낙랑군 시대의 고분에서 비교적 많은 철기를 채집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한나라 철기 기술의 발달이 얼마나 대단하였는가를 알게 되었다. (86쪽)
산의 중턱부터 기슭의 평야에 걸쳐 무려 수만 기의 고분이 산재해 있다. 통구강의 두 연안에서 산성자의 기슭과 마선구의 계곡 좌우에도 비슷한 다수의 고분이 산재해 있다. 이런 무수한 고분을 보면, 당시 고구려 문화가 얼마나 융성했으며 오랜 세월 동안 계승되었는가를 추측할 수 있다. (101쪽)
다행히 일본에는 호류사, 호키사, 호린사 등의 당탑 가람이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다른 예술품들과 함께 그 본원인 백제 예술의 놀라운 발전을 말해 주고 있다. (128쪽)
그래도 조선 500여 년간 국가의 압박과 사회의 학대를 견뎌내면서 종종 산림의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자력으로 다수의 건물을 확보하며 수백 명의 승려를 배출한 대가람도 있었다. (298쪽)
근래에 와서 총독부가 고적 조사 사업을 수행한 결과, 낙랑·대방군 시대부터 삼국·통일신라·고려 이후의 고적·유물이 발견되어 고대 예술사에 커다란 빛을 주게 되었다. 불충분하지만 이미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들 유물은 중국·일본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해주었다. (349쪽)
#關野貞 (1868∼1935)
+
《조선미술사》(세키노 타다시/심우성 옮김, 동문선, 2003)
문양이 있는 와당(瓦當 : 막새기와)은 주로
→ 무늬가 있는 막새기와는 으레
→ 그림이 있는 막새는 흔히
94쪽
이들 고분은 석총과 토총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무덤은 돌무덤과 흙무덤 두 가지가 있다
→ 묏등은 돌뫼와 흙뫼로 나눌 수 있다
101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