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위기
현재의 위기부터 극복해야 → 오늘 고갯마루부터 넘어야
과거의 위기에서 탈출했을 때 → 지난 늪에서 벗어났을 때
나의 위기일 수밖에 없다 → 나는 벼랑일 수밖에 없다
‘위기(危機)’는 “위험한 고비나 시기”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위기’ 얼개라면 ‘-의’부터 털고서, ‘아슬하다·아슬아슬’나 ‘아찔하다·아찔아찔’이나 ‘가시밭·가시밭길·가시밭판·가싯길’로 손볼 만하고, ‘고개·고갯마루·판’이나 ‘고비·고빗사위·죽을고비·한고비·구석’으로 손봅니다. ‘물결·큰물결·너울’이나 ‘눈바람·벼락’이나 ‘살얼음·살떨리다’나 ‘늪·수렁·진구렁·진창’으로 손보거나 ‘벼랑·벼랑끝·불구덩·불속’이나 ‘땀나다·땀흘리다·짙땀’이나 ‘애먹다·힘겹다·힘들다·버겁다·벅차다’나 ‘막다르다·사느냐 죽느냐’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철옹성을 쌓았던 한국 보수주의의 위기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 담벼락을 쌓던 이 나라 고인물에 고비라고 하기도 하지만
→ 울타리를 쌓던 이 땅 틀박이가 벼랑에 섰다고도 하지만
《책의 공화국에서》(김언호, 한길사, 2009) 637쪽
고통받는 청년들의 현실과 민주주의의 위기 상황을 살펴보게 합니다
→ 하루하루 괴로운 젊은이와 고비를 맞은 어깨동무를 살펴봅니다
→ 삶이 고단한 젊은이와 아슬아슬한 풀꽃나라를 살펴봅니다
《세월의 기억》(박순찬, 비아북, 2014) 14쪽
세상 사람들은 종말의 위기로부터 간신히 회복한 세계에서
→ 사람들은 벼랑끝에서 힘겹게 벗어난 곳에서
→ 사람들은 끝장난 고비에서 겨우 살아난 데에서
《특별할 것 없는 아쿠타 1》(이나이 카오루/김수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 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