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무렵의
아침 무렵의 도시는 → 아침 무렵에 서울은 / 아침에 큰고장은
동틀 무렵의 하늘을 → 동틀 무렵 하늘을 / 동트는 하늘을
‘무렵 + -의’ 얼거리라면 ‘-의’를 털면 됩니다. ‘무렵의’를 통째로 털어도 되고요. “저녁 무렵의 숲”이라면 ‘저녁숲’으로 손봅니다. “아침 무렵의 하늘”이라면 “아침하늘”이나 “아침에 하늘은”으로 손볼 만하고요. ㅍㄹㄴ
처서 무렵의 노을은
→ 여름끝 노을은
→ 여름 저무는 노을은
→ 끝여름 노을은
《너무 멀지 않게》(권오표, 모악, 2017) 33쪽
해질 무렵의 좋은 냄새에는 쓸쓸함이 배가된다
→ 해질 무렵 살가운 냄새는 더 쓸쓸하다
→ 해질 무렵 포근한 냄새는 훨씬 쓸쓸하다
《고양이 노트 4》(이케후지 유미/김시내 옮김, 시리얼, 2018) 116쪽
음 하나하나가 둘의 기분과 포개지면서 저녁 무렵의 숲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 소리 하나하나는 두 마음과 포개어 저녁숲으로 퍼져갑니다
→ 소리 하나하나는 두 손길로 어울려 저녁숲으로 퍼집니다
《피아노》(이세 히데코/황진희 옮김, 천개의바람, 2025) 2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