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만원 滿員
만원 버스로 출퇴근하다 → 꽉 찬 채 다니다 / 북새통으로 오가다
극장이 만원이다 → 보임터가 가득하다 / 마당이 북적이다
학생들로 만원을 이루고 있었다 → 아이들로 붐비었다
‘만원(滿員)’은 “정한 인원이 다 참”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가득·그득·꽉·꽉꽉·꾹·꾹꾹·꽉 차다’나 ‘구름·구름떼·구름밭·구름물결·구름바다·구름같다’로 손질합니다. ‘너울·놀·너울거리다·물결·물결치다·바다’나 ‘너울판·너울바람·너울꽃·넘실거리다·넘치다·넘쳐나다’로 손질하고, ‘다닥다닥·다발·다복하다·바리·바리바리’나 ‘더미·덩어리·덩이·도떼기·도떼기판·두둑하다’로 손질하지요. ‘들어차다·듬뿍·많다·멧더미·납작’이나 ‘무지·무더기·뭉치·뭉텅·뭉텅이’로 손질해요. ‘미어지다·미어터지다·셀길없다·차고 넘치다’나 ‘차다·찰랑이다·채우다·철철·찰찰·촘촘하다’로 손질하며, ‘바글바글·버글버글·복닥이다·복작이다·복닥판·복작판’이나 ‘북새통·북새·북새길·북새판·북새굿·북새철’로 손질합니다. ‘북적이다·북적북적·북적판·북적길·북적철’이나 ‘붐비다·붐빔길·붐빔판·붐빔터·붐빔철’로 손질해도 어울리고, ‘불가마·불솥·불구덩이·불구덩·불굿·불밭·불수렁·불수레’나 ‘빼곡하다·빽빽하다·-뿐·콩나물시루’로 손질할 만합니다. ‘솔찮다·수두룩하다·수북하다·숱하다·쏠쏠하다’로 손질하고, ‘아름·어마어마하다·엄청나다·흘러넘치다’나 ‘와글와글·우글우글·욱시글·좔좔’로 손질하면 돼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만원(滿願)’을 “정한 기한이 차서 신이나 부처에게 기원하는 일이 끝남”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내 줍니다. ㅍㄹㄴ
이 마을에서 벌서 만원이어서 앉을 자리가 없습니다
→ 이 마을에서 벌써 꽉 차서 앉을 자리가 없습니다
→ 이 마을에서 벌써 가득 차서 앉을 자리가 없습니다
→ 이 마을에서 벌써 붐벼서 앉을 자리가 없습니다
《울면서 하는 숙제》(이오덕, 인간사, 1983) 157쪽
이 배는 만원인 관계로
→ 이 배는 꽉 차서
→ 이 배는 자리가 차서
→ 이 배는 빈자리가 없어서
→ 이 배는 북새통이라서
《불멸의 그대에게 4》(오이마 요시토키/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8) 169쪽
입장료를 비싸게 받고 만원滿員시킬 수 있었다
→ 표를 비싸게 받고 가득 채울 수 있었다
→ 표값을 비싸게 받고 꽉 채울 수 있었다
→ 표값을 비싸게 받고 모두 채울 수 있었다
《조선 영화의 길》(나운규, 가갸날, 2018) 90쪽
구경꾼들까지 포함해 초만원을 이뤘다
→ 구경꾼들까지 해서 가득했다
→ 구경꾼들까지 더해서 북적거렸다
→ 구경꾼들까지 모여 북새통이었다
《사이보그 009 완결편 3》(이시노모리 쇼타로·오노데라 조·하야세 마사토/강동욱 옮김, 미우, 2018) 59쪽
나의 매일은 아침에 만원전차에 타고
→ 나는 아침마다 콩나물시루에 타고
→ 나는 아침이면 북새통을 타고
→ 나는 아침마다 납작길을 타고
→ 나는 아침이면 불솥을 타고
《프린세스 메종 4》(이케베 아오이/정은서 옮김, 미우, 2018) 65쪽
대만원을 이루었다
→ 가득했다
→ 가득찼다
→ 잔뜩 모였다
→ 구름처럼 모였다
《조선의 페미니스트》(이임하, 철수와영희, 2019) 87쪽
관객 4명으로 시작한 이 회가, 4회째에 벌써 만원 사례잖냐
→ 손님 넷으로 연 이 모임이, 넉걸음에 벌써 구름떼잖냐
→ 구경꾼 넷을 연 이 모임이, 넉벌째에 벌써 붐비잖냐
《아카네 이야기 11》(스에나가 유키·모우에 타카마사/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5) 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