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7. 모르는책
누구나 읽고 쓰는 오늘날입니다. 글을 읽기도 하지만, 마음을 읽기도 합니다. 책을 펴거나 쓰기도 하고,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짓기도 합니다. 서로 눈빛을 읽기도 하고, 가만히 하늘과 바다와 들숲을 읽기도 하지요. 책은 꾸준히 새로 태어나되 막상 책을 곁에 두는 사람은 줄어든다고 하지만, 여러모로 보면 ‘종이꾸러미’도 책이요, 이야기꾸러미와 살림꾸러미와 씨앗꾸러미도 책입니다. 씨앗 한 톨로도 오롯이 책이요, 이슬과 빗물 한 방울도 새삼스레 책이에요. 다른 누가 “이슬이란 무엇인가?” 하고 찾아나서면서 밝힌 꾸러미를 읽을 수 있고, 우리 스스로 “이슬은 언제 어떻게 맺어서 어느 목숨붙이한테 이바지하면서 철마다 새로운가?” 하고 지켜보면서 알아낼 수 있습니다. 날씨알림을 듣고서 날씨를 어림할 수 있고, 우리 스스로 바람결과 구름결과 별빛을 헤아리면서 날씨를 읽고 새겨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숲이 고스란히 책숲(도서관)이라고 느껴요. 들녘이 언제나 들숲(생활박물관)이로구나 싶어요. 바다가 언제나 바다숲(해양박물관)일 테지요. 어느 날 문득 ‘모르는책’이라는 낱말을 손바닥에 얹어 보았습니다. 굳이 한 낱말로 ‘모르는책·눈익은책·익숙한책’처럼 엮으면서 ‘배우는책·때우는책’에 ‘익히는책·첫걸음책’처럼 글결을 맞추어 봅니다. 모르기에 읽고서 배웁니다. 이제 조금 알아보기에 아직 모르는 길을 찾아나섭니다. 모르는 줄 알기에 다시 읽고, 가만히 눈을 틔우면서 새록새록 눈길을 열고 싶어서 끝없이 읽고 돌아봅니다.
ㅍㄹㄴ
모르는책
너는 으레
‘모르는책’은 안 들추고
‘눈익은책’에 손을 뻗네
이렇게 책이 수북한데
나는 줄곧
‘익숙한책’은 지나치고
‘처음인책’을 들여다봐
이처럼 책이 더미인데
너는 자꾸
‘배우는책’은 치워 놓고
‘때우는책’을 옆에 둔다
온삶이 배움날인데
나는 새삼
‘익히는책’을 또 읽는다
‘첫걸음책’은 늘 설레니
다시금 보고서 살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