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어떤 꽃 열다섯 (2025.6.14.)
― 부산 〈카프카의 밤〉
올해는 첫봄·한봄·늦봄 모두 부드럽게 찾아와서 차분하게 흐릅니다. 이른더위가 없이 첫여름으로 접어들고, 땡볕이 퍼지기 앞서 함박비로 정갈하게 씻습니다. 빗물로 비우고서 빗줄기로 담습니다. 빗살로 오늘을 그려서 빛살로 풀어내요.
이제 부산 〈카프카의 밤〉에서 ‘이응모임’ 열다섯걸음을 맺습니다. 다달이 하루씩 이은 마음씨앗은 모두 열다섯 톨입니다. 잇고 읽고 익히면서 이야기하는 자리를 매듭지은 뒤에는 새모임으로 일구자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자리에 함께한 이웃님이 있기에 모임을 꾸릴 수 있습니다.
가만 보면 지난해도 올해도 비랑 다니는 발걸음입니다. 볕이 드리운 날도 있지만, 비가 흩뿌린 날이 훨씬 많았습니다. 저는 책짐을 질끈 메고서 맨몸으로 빗방울을 받으며 걸어다녔어요. 빗물은 늘 뺨을 타고 흐르며 땀내음을 씻어 주었습니다.
모두 고맙고 아름다운 나날입니다. 그런데 고맙지도 않거나 아름답지도 않다고 여길 모습이 스칠 적마다, 그저 스치지 않고서 들여다보고 마음을 기울일 수 있어요. 안 고맙거나 안 아름다운 모습은 새삼스러운 배움길이거든요. 아직 안 고맙고 안 아름다운 곳을 우리 눈길과 손끝으로 가만히 달래면서 새롭게 바꾸고 가꿀 수 있구나 하고도 느낍니다.
너를 보고 나를 돌아보면서 생각합니다. 목소리만 내려는 나인지 고즈넉이 묻습니다. 몸빛으로 마음노래를 나누려는 너나우리인지 조용히 묻습니다. 누구나 스스로 심는 말씨에 따라서 마음씨를 바꿉니다. 저마다 스스로 바꾸는 마음씨에 따라서 손씨(솜씨)가 바뀝니다. 우리 스스로 바꾸는 손씨에 따라서 삶씨(매무새)도 나란히 바꾸고요. 잘 하거나 잘못 한다는 마음이 아닌, 스스럼없이 나부터 한다는 마음인 씨앗을 심으면 넉넉하구나 싶습니다.
시골집에서 아이들하고 살림을 지을 적에는 살림씨앗을 심고서 살림꽃을 피웁니다. 우리 보금숲에서 곁님하고 생각을 나눌 적에는 생각씨앗을 심고서 생각꽃을 피웁니다. 홀로 마실길에 나서면서 먼발치 이웃님을 만나서 이야기밭을 가꿀 적에는 이야기씨앗을 심고서 이야기꽃을 피웁니다.
늦봄이 저물기에 첫여름입니다. 늦여름이 수그러들면 첫가을입니다. 늦가을이 잠들면 첫겨울입니다. 늦겨울이 떠나면 첫봄입니다. 모든 철은 석 달을 두고서 느긋이 돌고돕니다. 모든 삶은 철빛을 헤아리는 철눈을 가다듬으면서 해살림(한해살림)을 지피는 얼개라고 느낍니다. 한 해씩 품는 나이란, “낳는 일”인지 “낡는 머릿니”인지 “나는(날갯짓하는) 이야기”인지 다시금 헤아립니다.
ㅍㄹㄴ
《안녕은 작은 목소리로》(마쓰우라 야타로/신혜정 옮김, 북노마드, 2018.9.21.첫/2021.11.15.3벌)
#松浦彌太郞
《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리베카 솔닛/노지양 옮김, 창비,2021.12.7.)
#Whose Story Is This #Old Conflicts New Chapters #Rebecca Solnit
《우리 집은 책방 1》(요코야마 토무/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4.5.30.)
《가장 사적인 평범》(부희령, 교유서가, 2024.9.4.)
《굶주린 마흔의 생존 독서》(변한다, 느린서재, 2023.9.18.)
《우리가 키스할 때 눈을 감는 건》(고명재, 문학동네, 2022.12.15.첫/2023.3.21.4벌)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