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번번 番番


 약속을 번번이 어기다 → 다짐을 자꾸 어기다

 번번이 낙방하다 → 으레 떨어지다 / 내처 떨어지다

 좋은 기회를 번번이 놓치다 → 좋은 틈을 뻔질나게 놓치다


  ‘번번이(番番-)’는 “매 때마다 ≒ 매매·매번·매양·연차”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가만히·걸핏하면·곧잘·제꺽하면·툭하면’이나 ‘그때그때·그렇게·그토록·꼬박’으로 손봅니다. ‘꼼꼼하다·꾸준히·낱낱이·다복하다·살뜰하다·알뜰하다’나 ‘내내·내도록·내처·한결같다·한꽃같다’로 손봐요. ‘노·노상·느루·늘·언제나·흔하다’나 ‘똑같다·마찬가지·매한가지·알 만하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뻔질나다·자꾸·자주·잦다·족족’이나 ‘셀길없다·수두룩하다·수북하다·숱하다·헤아릴 길 없다’로 손보지요. ‘심심찮다·심심하면·아무 때나·앉으나 서나’나 ‘으레·이제나 저제나·자나 깨나·지그시·지며리’로 손보아도 됩니다. ㅍㄹㄴ



번번이 수저를 빼앗기더니

→ 노상 수저를 빼앗기더니

→ 늘 수저를 빼앗기더니

《쓰다 만 편지인들 다시 못 쓰랴》(김경미, 실천문학사, 1989) 76쪽


오히려 지연과 학연에 근거한 갈등이 번번히 일어난다는 사실을

→ 오히려 이웃과 배움끈 탓에 곧잘 부딪히는 줄

→ 오히려 아는 사이에서 자주 부대끼는 줄

《슈퍼내추럴》(그레이엄 핸콕/박중서 옮김, 까치, 2007) 114쪽


러브콜을 번번히 거절한 탓에

→ 불러도 으레 내친 탓에

→ 찾아도 늘 손사래친 탓에

《박원순이 걷는 길》(박원순·임대식, 한길사, 2015) 383쪽


번번이 실패하면서 왜 계속 평화적으로 싸우느냐고요

→ 노상 넘어지면서 왜 자꾸 착하게 싸우느냐고요

→ 늘 깨지면서 왜 내내 맨몸으로 싸우느냐고요

→ 걸핏하면 끝나면서 왜 그냥 곱게 싸우느냐고요

《에멀린 팽크허스트》(리즈베스 카이저·아나 산펠립포/박소연 옮김, 달리, 2018) 14쪽


카레를 끓이면서 하는 독서는 나를 번번이 일어나게 만든다

→ 매콤이를 끓이면서 읽으면 자주 일어나야 한다

→ 노란밥을 끓이면서 읽자면 자꾸 일어나야 한다

《읽는 생활》(임진아, 위즈덤하우스, 2022) 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