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위주 爲主
남성 위주의 사회 → 사내밭 / 사내판 / 사내바다
흥미 위주의 기사 → 재밋거리 글
실력 위주로 사람을 뽑다 → 솜씨를 보며 사람을 뽑다
자기 위주로 생각하고 행동했다 → 저만 생각하고 움직인다
입시 위주의 학교 교육은 → 셈겨룸만 보는 배움터는
황금빛이 위주였다 → 거의 샛노랗다
‘위주(爲主)’는 “으뜸으로 삼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으뜸·첫째·꼭두
가운데·한가운데·복판·한복판’으로 손봅니다. ‘판·마당·바탕·밑·밑바탕·밑절미’나 ‘물결·너울·바다·밭’로 손보고요. ‘-만·-로·거의·으레’나 ‘보다·바라보다·살피다·따지다·다루다’로 손볼 수 있고, ‘알다·헤아리다·생각하다’나 ‘매이다·얽매이다·갇히다’로 손보아도 되어요. ㅍㄹㄴ
내가 지금까지 해 온 여행은 과정을 무시한 목적지 위주의 여행이었다
→ 내가 이제까지 해온 마실은 길을 안 보고 끝만 본 셈이었다
→ 나는 여태까지 흐름을 안 본 채 끝으로만 달린 마실을 했다
《잃어버린 여행가방》(박완서, 실천문학사, 2005) 12쪽
건교부의 관련법에서는 홍수만을 위주로 다룰 뿐, 하천 환경을 좋게 하려는 의지는 보이지 않습니다
→ 건교부가 세운 틀은 큰물만을 다룰 뿐, 냇물을 가꾸려는 마음은 보이지 않습니다
→ 건교부 틀은 물벼락만을 살필 뿐, 냇물을 가꾸려는 생각은 보이지 않습니다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한무영, 그물코, 2009) 53쪽
농업 위주의 삶을 꾸려 나가던 공동체는
→ 흙살림을 꾸려 나가던 두레는
→ 흙짓기로 꾸려 나가던 시골은
《열세 살 여공의 삶》(신순애, 한겨레출판, 2014) 49쪽
오늘날은 돈이 되는 작물 위주로 단일 작물을 대량 재배한단다
→ 오늘날은 돈이 되는 남새 한 가지만 잔뜩 심는단다
→ 오늘날은 돈이 되는 열매 하나만 한가득 키운단다
《10대와 통하는 환경과 생태 이야기》(최원형, 철수와영희, 2015) 78쪽
주로 애상과 회고 위주인 일부 문인들의 글을 흉내내도록 하였던 것이다
→ 쓸쓸하게 옛날을 생각하는 몇몇 글쟁이를 흉내내도록 한 셈이다
→ 애틋하게 옛일을 돌아보는 몇몇 글꾼을 흉내내도록 한 꼴이다
《글쓰기, 이 좋은 공부》(이오덕, 양철북, 2017) 63쪽
초창기에는 저희에게 영향을 많이 준 책들 위주로 입고했는데
→ 처음에는 저희를 일깨운 책을 바탕으로 들였는데
→ 처음에는 저희가 즐겁게 읽은 책만 들였는데
→ 처음에는 저희가 반긴 책을 살펴서 들였는데
→ 처음에는 저희를 북돋운 책을 헤아려 들였는데
《전국 책방 여행기》(석류, 동아시아, 2019) 23쪽
왜 투쟁을 타도 위주로만 여겨야 한단 말인가
→ 왜 싸움을 쳐내기로만 여겨야 한단 말인가
→ 왜 자빠뜨리는 싸움만 보아야 한단 말인가
→ 왜 거꾸러뜨리는 싸움만 해야 한단 말인가
→ 왜 무너뜨리는 싸움이어야만 하는가
→ 왜 몰아내는 싸움이어야만 하는가
→ 왜 깨부수는 싸움이어야만 하는가
《엄마도 페미야?》(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22) 33쪽
아이 위주로 돌아가기 마련인데
→ 아이를 보며 돌아가게 마련인데
→ 아이 바탕으로 돌아가는데
《한 달의 고베》(한예리, 세나북스, 2025) 2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