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84 : 시 수업 그녀 농부 시인의 시 것 의미
시 수업이 그녀에게 무엇이었을까요? 농부 할머니에게 서정주나 김수영 같은 시인의 시를 읽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었을까요?
→ 할머니는 노래를 왜 배웠을까요? 시골 할머니는 서정주나 김수영 같은 글을 읽으며 무엇을 느꼈을까요?
《삶을 바꾸는 책 읽기》(정혜윤, 민음사, 2012) 25쪽
할머니는 할머니입니다. 할머니는 ‘그녀’가 아닙니다. 노래를 배우는 할머니는 이런 글과 저런 글을 읽으며 무엇을 느낄는지 헤아려 봅니다. 우리는 우리대로 느낄 테고, 할머니는 할머니대로 느낄 테지요. 논밭을 짓는 시골에서 수수하게 살아온 할머니는 흙빛이 아닌 다른 이웃이 살아온 모습을 글 몇 자락으로 지켜보면서 곱씹을 만합니다. ㅍㄹㄴ
시(詩) : 1. [기독교] 구약 성경 〈시편〉의 글 2. [문학] 문학의 한 장르. 자연이나 인생에 대하여 일어나는 감흥과 사상 따위를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한 글이다. 형식에 따라 정형시·자유시·산문시로 나누며, 내용에 따라 서정시·서사시·극시로 나눈다 ≒ 포에지 3. [문학] 한문으로 이루어진 정형시. 고대 중국에서 이루어진 양식으로, 평측과 각운에 엄격하며, 한 구(句)는 네 자, 다섯 자, 일곱 자로 이루어진다. 고시, 절구, 율시, 배율 따위가 있다 = 한시
수업(授業) : 1. [교육]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이나 기능을 가르쳐 줌. 또는 그런 일 2. [교육] 학습을 촉진시키는 모든 활동
그녀(-女) : 주로 글에서, 앞에서 이미 이야기한 여자를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농부(農夫) : 농사짓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경부·농부한·농사아비·전농·전부·전자
시인(詩人) : 시를 전문적으로 짓는 사람
의미(意味) : 1. 말이나 글의 뜻 2. 행위나 현상이 지닌 뜻 3. 사물이나 현상의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