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8.2.

숨은책 1071


《朝鮮 農村問題辭典》

 인정식 글

 신학사

 1948.10.15.



  처음에는 일본사람이 세운 〈경성문고〉라는 책숲이었고, 여러 손길을 거치고 조선총독부가 돌보다가 1945년을 맞이하고서 서울 〈종로도서관〉이 오늘날처럼 설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곳에 1948년에 32723째로 깃든 《朝鮮 農村問題辭典》인데, ‘1977.12.31. 제적’이라는 손글씨가 적히고서 버림받습니다. 버림받는 숱한 책은 그냥 헌종이로 팔리지만, 작은책 하나는 용케 살아남습니다. 가까스로 헌책집 일꾼 손에 닿았으며, 저는 이 책을 2004년 10월 21일에 서울 〈숨어있는 책〉에서 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책숲에서 들이는 책이 꾸준하게 많다면 ‘책시렁’을 나란히 늘일 노릇이지만 막상 안 늘립니다. 오래 묵은 책부터 ‘알뜰히’ 솎아서 ‘신나게’ 내버립니다. 그래야 새책을 ‘신나게’ 사들여서 갖추거든요. 책숲마다 책이 늘어나면 작은 골목집을 한 채씩 장만해서 ‘1948년 책’이며 ‘1958년 책’이며 ‘1968년 책’을 둘 만해요. 멀쩡한 책을 헌종이로 버리기보다는 ‘작은 골목책숲’을 늘리는 길을 가면 될 텐데, 나라(정부·교육청)에서는 그닥 마음이 없습니다. 인정식 님은 ‘시골 이야기’를 1948년에 엮어냅니다만, 2025년에 ‘시골 이야기’를 쓸 줄 아는 사람은 몇이나 있을까요? 시골사람으로 시골살림을 짓는 사람부터 드뭅니다. 그나저나 〈종로도서관〉은 그 옛날, 책 안쪽에  부엉이 무늬를 새겨서 “注意 침을 칧어지 마시고 책장을 만지시오” 하고 글씨를 넣었습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