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흥망성쇠
모든 일에는 흥망성쇠가 있다 → 모든 일은 나고죽는다 / 모든 일은 돌고돈다
사회나 국가의 흥망성쇠가 달린 문제다 → 삶터와 나라에 죽살이가 달린 일이다
흥망성쇠(興亡盛衰) : 흥하고 망함과 성하고 쇠함
잘되거나 안되는 길이란, ‘기쁨슬픔·기쁘거나 슬프거나·괴롭거나 즐겁거나’라 할 만합니다. ‘웃음눈물·웃거나 울거나·울고웃다·웃고울다’이면서, ‘나고죽다·수레바퀴’입니다. ‘죽살이·죽고살고·삶죽음·살고죽고’로 나타낼 만하고, ‘너울대다·너울너울·너울길·너울판’이나 ‘너울바람·너울결·너울날·너울빛·너울꽃’이나 ‘넘실대다·넘실넘실·넘실길·넘실판’으로 나타내면 되어요. ‘네가지·네갈래·네걸음·네고리’나 ‘네고비·네고개·네아픔·네길·네곬’로 그릴 만합니다. ‘돌고돌다·돌다·돌아가다·돌잇길’이라 할 수 있어요. ‘물결치다·오르내리다·오락가락·찰랑이다·출렁이다’나 ‘빛그늘·빛과 그늘·빛그림자·빛과 그림자’라 하면 되어요. ‘빛어둠·빛과 어둠’이기도 하면서, ‘살다·살아가다·살아오다·살아내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살림·삶’이나 ‘온길·온틀’이라든지 ‘한누리·한뉘·한살이·한삶’이라 해도 되고요. ㅍㄹㄴ
야망이 춤추는 영웅의 흥망성쇠만을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있지 않느냐 말야
→ 노림짓이 춤추는 우두머리 삶만 아이들한테 가르치지 않느냐 말야
→ 겨냥길이 춤추는 꼭두머리 수레바퀴만 아이들한테 가르치지 않느냐 말야
《영원한 것을》(나가이 다카시/이승우 옮김, 성바오로출판사, 1964) 53쪽
이런 물건들이 한 가족의 흥망성쇠를 몸에 다 새기고 이젠 벼룩 시장에 누워 있었습니다
→ 이제 이런 살림이 한집안 빛그늘을 속에 담고서 벼룩마당에 나옵니다
→ 이제 이런 세간이 한집안 기쁨슬픔을 품고서 벼룩저자에 나옵니다
《삶을 바꾸는 책 읽기》(정혜윤, 민음사, 2012) 2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