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절기식물



 절기식물을 관찰한다 → 철맞이꽃을 지켜본다

 절기식물을 확인하고서 → 철눈풀꽃을 살피고서


절기식물 : x

절기(節氣) : 1.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이 되는 것 ≒ 시령·절후 2. 이십사절기 가운데 양력 매월 상순에 드는 것. 입춘, 경칩, 청명 따위이다 3. 한 해 가운데서 어떤 일을 하기에 좋은 시기나 때 = 철

식물(植物) : [식물] 생물계의 두 갈래 가운데 하나. 대체로 이동력이 없고 체제가 비교적 간단하여 신경과 감각이 없고 셀룰로스를 포함한 세포벽과 세포막이 있다



  ‘절기식물(節氣植物)’은 그냥 일본말이라고 해야지 싶습니다. 우리는 이런 한자말을 안 쓰기도 하고, 이처럼 엮지도 않습니다. 우리말로는 ‘제철풀·제철풀꽃·제철꽃’입니다. ‘철눈풀·철눈풀꽃·철눈꽃·철풀·철풀꽃·철꽃’이라 할 만하고요. ‘철맞이풀·철맞이풀꽃·철맞이꽃’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서비스베리님 같은 절기 식물은 토착민이 철마다 식량을 찾아 거주지를 옮길 시기를 정하는 데 중요하다

→ 텃사람은 철마다 밥살림을 찾아 삶터를 옮길 적에 들딸기님 같은 철맞이풀을 살핀다

→ 텃내기는 철마다 먹을거리를 찾아 터전을 옮길 적에 베풂딸기님 같은 철풀꽃을 본다

→ 텃님은 철마다 밥감을 찾아 마을을 옮길 적에 멧딸기님 같은 제철풀꽃으로 가늠한다

《자연은 계산하지 않는다》(로빈 월 키머러/노승영 옮김, 다산초당, 2025) 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