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7.6.
숨은책 1045
《胃腸病의 新療法》
김사달 글
한일출판사
1962.2.10.
어릴적에 둘레에서 ‘의사 김사달(金思達)’ 책을 많이 보시더니 어느 무렵부터 이분 책을 안 읽으시던데, 글쓴이가 그만 이른나이에 숨을 거둔 탓이지 싶어요. 혼배움으로 돌봄길(의학)을 깨우치고서 뭇사람 몸을 고쳐 주었어도, 막상 너무 바쁘게 일하느라 이녁 몸은 못 돌보거나 못 고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분이 편 돌봄손길이 틀렸다고 할 수 없어요. 쉬잖고 일하면 누구나 몸이 무너지게 마련일 뿐입니다. 1962년에 나온 《胃腸病의 新療法》인데, 안쪽에 “삼가 드리나이다. 朝鮮日報 調査部”라는 글씨가 남습니다. ‘근정(謹呈)’ 같은 한자말을 안 쓴 대목이 돋보이되, 막상 ‘조선일보 조사부’는 한자로 적는군요. 줄거리를 보면 거의 일본책을 옮긴 듯싶은데, 이 얼거리는 오늘날에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박경리 님은 일본을 그토록 미워하셨지만 막상 일본말씨하고 일본한자말은 서슴없이 널리 썼어요. 마음과 목소리와 말과 삶이 하나로 잇닿지 못 하던 지난날입니다. 이 책을 헌책집에서 장만하던 날 남긴 글을 문득 돌아본다.
1999.12.5.해. 창영동 아벨서점. 함께살기 최종규. 거짓말도 때론 동무에게 이로운 일로 자리할 수 있을까? 거짓말을 좋은 뜻(?)으로 하는 일? 그 좋다는 뜻이 무어던가? 나중에 그이가 바라던 대로 ‘좋게’ 끝맺을 수 있지만 쓴 아픔으로 남을 수도 있음은 생각하지 못하겠지.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