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7. 영업을 못 하는 책집
“장사(영업)를 잘하는 가게”로 〈올리브 영〉을 꼽는 만큼, “장사(영업)를 못하는 가게”로 마을책집을 꼽을 수 있다고도 여길 수 있다만, “모든 사람이 시끌벅적한 곳에서 마음을 찬찬히 기울여서 책을 즐겁게 읽을 수 있지 않”다. 이미 돛데기장사판으로 바뀐 〈서울국제도서전〉이다만, 〈서울국제도서전〉은 그곳에 자리를 내놓은 거의 모든 곳이 손님 발길을 잡으려고 끝없이 목청을 돋운다. 그곳에 발걸음을 디딜 때부터 ‘시끌벅적·왁자지껄’이 춤춘다. 그래서 〈서울국제도서전〉은 ‘돛데기장사판’일 뿐, ‘온갖 다 다른 책을 살피고 읽으면서 마음을 사로잡는 책마을 일꾼을 만나기’도 하는 데하고는 아주 동떨어진다.
〈서울국제도서전〉은 ‘사유화’라는 말썽거리도 있다. 이 책잔치를 꾸려온 ‘출협(대한출판문화협회)’은 “도서전 안정적 운영”을 꾀하려는 뜻이라면서 ‘주식회사 사유화’를 몰래 밀어붙였다. 그런데 출협은 ‘2023년 서울도서전 홍보대사’로 ‘박근혜 무렵 블랙리스트 국가범죄 실행자’인 오정희 씨를 밀어붙였다. 이러고서 이때 불거진 말썽거리를 출협 스스로가 아닌 나라(정부) 탓이라고만 슬그머니 핑계를 대면서 빠져나갔다. 또한 출협은 그동안 나라에서 ‘서울도서전 이바지돈(지원금)’을 받고서 ‘정산내역 미공개’로 어물쩍 넘어갔다. 또한 출협은 ‘2024년 서울도서전에 국가지원이 없었다’는 거짓말을 했다. 2024년에는 ‘나라에서 서울도서전 참가사한테 직접지원’을 했다. ‘출협에서 정산내역 미공개’를 하기 때문에 ‘서울도서전 참가사한테 하나하나 직접지원’을 하면서 2024년은 어느 해보다 책잔치가 잘되었는데, 이러한 대목을 숨기기에 바빴다.
오늘날 마을책집은 큰길가 아닌 골목에 고즈넉이 깃들곤 한다. 시끌벅적한 데가 아닌 차분하고 조용한 데에 마을책집을 둔다. “책을 안 팔려는 뜻”이 아니라 “책을 팔려고 일부러 걸어가서 조용히 깃드는 골목”에 자리를 잡는다. 여러 가지 책을 차근차근 짚고 헤아리려면 ‘시끌벅적·왁자지껄’은 아주 걸리적거리니까. 그래서 마을 한켠에 고즈넉이 깃든 숱한 마을책집은 아예 ‘책알림(pop)’조차 없기 일쑤이다. 책손 스스로 천천히 손에 쥐고서 넘겨 보라는 뜻이다. 나중에 사서 읽을 적에도 고즈넉한 곳에서 읽을 테지만, 책을 고르고 장만하는 자리에서도 고즈넉할 적에 “이 책이 나한테 맞거나, 이 책으로 내 눈길을 틔울 만한가” 하고 헤아릴 수 있다.
이른바 〈올리브 영〉처럼 장사를 잘하는 ‘작지 않은 큰 독립서점’이 여러 곳 있다. ‘장사를 잘하는 큰 독립서점’은 떠들썩하다. 이름난 글바치를 꽤 자주 불러서 책수다를 열기도 한다. 〈교보문고〉 같은 데에서 누가 책수다를 열까? 시청·군청·도청·시립도서관·군립도서관·도립도서관에서는 누구를 목돈을 들여 부르고서 책수다를 펼까? 공공기관 벼슬아치는 “한 해에 한두 판씩 삯(강사비)을 500∼1000만 원쯤 들여 ‘서울에서 이름난 분’을 모시고는, 1000∼2000사람쯤 한꺼번에 끌어모아서 왁자지껄하게 보람(성과)을 거두는 자리”를 좋아한다. 공공기관 가운데 “한 해 동안 20사람한테 50만 원씩 삯(강사비)을 나누어 쓰면서 다 다른 목소리로 다 다른 이야기를 누리는 작은자리”를 꾀하려는 일꾼은 매우 적다.
마을책집마다 빛깔이 다르다. 다 다른 마을책집은 저마다 “그저 돛데기장사판 우리나라 민낯”이 창피하고 부끄러울 뿐 아니라, 이대로는 오히려 책마당이 모조리 망가지겠구나 하고 느껴서, 다 다른 결로 다 다른 마을에서 다 다른 갈래를 헤아리는 다 다른 마을책집을 꾸린다고 느낀다. 그래서 마을책집이라는 곳은 “책을 고즈넉이 살피면서 책을 반갑게 새로 만나서 장만하는 곳”이다. 책집지기가 책손한테 굳이 절(인사)을 해야 할 까닭이 없다. 거꾸로 책손이 책집지기한테 “오늘 이 책을 알아보고 장만할 수 있어서 고맙습니다.” 하면서 절을 해야지. 작은책집이자 마을책집은 이미 그곳 책시렁으로 우리한테 “자, 이렇게 끝없이 넘치는 책 가운데 읽으실 만한 책을 추려 놓았어요!” 하고 밝혀 주었다. 우리는 “이미 잘 추려내어 꽂아놓은 책시렁”을 고맙게 살피면서 손길이 닿는 대로 한두 자락이나 서너 자락을 기쁘게 장만할 수 있다.
마을책집은 “대량생산 대량소비”가 아닌 “적정생산 적정소비”를 바라는 뜻과 마음을 펴는 마을가게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마을책집을 〈일본 츠타야〉나 〈한국 올리브 영〉하고 섣불리 댈 적에는 “왜 굳이 마을책집을 열지?”라고 하는 수수께끼를 아예 모를 수밖에 없다. 〈교보문고〉나 〈알라딘〉이 되려고 마을책집을 연 분은 몇몇 사람 빼고는 없다. 다들 “이 마을을 사랑하기에, 이 마을에 쉼터를 일구고 싶어서 작고 천천히 느긋이” 일구어 가는 길이다.
책집은 다 다르기에 빛난다. 책집이 다 비슷비슷하거나 다 장사를 잘하려고 한다면, 이미 책집이 아니다. 책집은 서서읽기로 책을 살피고서 즐겁게 책을 사읽는 즐거우며 조용하고 나긋한 쉼터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