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5.30. 향긋이 살리는



  아침에 큰아이가 “예전에 우리가 가져온, 향긋한 나무가 뭐지요?” 하고 묻는다. ‘유칼립투스’라고 알려준다. 이 이름은 이 나무가 흔히 자라는 터전에서 붙였다. 아이들은 이 이름이 혀에 안 붙는 듯했다. 그렇구나 하고 느끼면서 예닐곱 해쯤 이 나무를 지켜보고 알아보다가 문득 ‘살림나무’란 이름을 떠올렸다. 줄기에 잎에 가지에 그저 온빛으로 둘레를 살리는 몫이니 이렇게 수수하게 이름을 붙이며 마주한다.


  곰곰이 보면 모든 나무는 ‘살림나무’이다. 그래도 ‘살구’란 이름을 한 가지 나무한테 쓰듯 ‘살림나무’라는 이름을 “숲노래 사투리”로 지어서 쓴다.


  지난날에는 누구나 “스스로 짓는 사투리”가 있었다. 우리가 예부터 가리키는 모든 풀꽃나무 이름은 ‘사투리’이다. ‘곰밤부리’나 ‘잣나물’이나 ‘코딱지나물’이나 ‘봄까지꽃’은 사투리이다. ‘민들레’나 ‘냉이’나 ‘망개’도 사투리 가운데 하나인데, 민들레나 냉이나 망개를 가리키는 사투리는 아주 많다. 따로 글꾼(전문가·학자)이 지은 풀이름이나 꽃이름이나 나무이름은 없다. 따로 임금이 지은 새이름이나 벌레이름이 있겠는가? 집과 옷과 밥을 가리키는 모든 이름도 사투리이게 마련이다. 오늘날 우리는 “스스로 짓는 사투리”를 잊으면서 말을 잊고 마음을 잃는다. 이제 우리는 “글꾼이 엮은 말”만 외우면서 말이 어렵고 마음을 닫는다.


  향긋하지 않은 나무란 없다만, 꼭 어느 한 그루한테 “넌 ‘향긋나무’로구나.“ 하고 속삭인다. 사랑을 그리며 이름을 짓는다. 숲을 헤아리며 모든 말글을 가다듬는다. ‘좋은말’이 아니라 ‘삶말’과 ‘살림말’과 ‘사랑말’을 쓰면 된다. ‘꾼말(학술용어)’이나 ‘먹물말(전문용어)’이 아닌, 또한 ‘순우리말’이나 ‘토박이말’이 아닌, 우리 삶과 살림과 사랑을 숲빛으로 추스르는 사투리를 쓰기에 반갑게 어울린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