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3.21.
《엄마는 그림책을 좋아해》
이혜미 글, 톰캣, 2024.12.30.
오늘은 잣나물을 그릇 가득 훑는다. ‘곰밤부리’라고도 일컫는데, 한참 먹고 보면 밤알을 먹는 맛이 돌기도 한다. 셋쨋달 봄나물은 그냥 먹는다. 아직 진드기도 안 올라올 무렵이요, 개미도 안 나올 때이기에, 훑으면서 바로 먹는다. 낮에 고흥교육청에 간다. 교육장님한테 《말꽃 꾸러미》를 드리려고 찾아가는데 마침 자리에 없다. 책을 놓고서 저잣마실을 본다. 《엄마는 그림책을 좋아해》를 돌아본다. 그림책집을 꾸리면서 겪어야 한 여러 삶길을 차곡차곡 읽었다. 아이를 낳기에 그림책을 가까이하는 분이 있으나, 아이를 낳아도 그림책과 동화책을 아예 안 보는 분이 무척 많다. 집에 아이가 있기에 아이 눈높이를 헤아리며 말하는 분이 있다면, 아이하고 한집을 이루어도 아이 목소리를 귀담아들으려 안 하는 분이 있다. 그림책을 즐기려면 “아직 아이를 안 낳을” 무렵부터 곁에 둘 일이라고 느낀다. “짝을 안 맺고 혼자 살아가”더라도 그림책을 사랑할 줄 안다면, 누구나 스스로 사랑하면서 온누리 어린이와 푸름이 곁에서 새길을 연다고 느낀다. 아이한테만 책을 읽히는 어버이는 아이가 열네 살로 접어들면 그림책을 몽땅 버리거나 팔던데, 그림책은 열다섯 살이나 스물다섯 살이나 쉰다섯 살에도 아름답게 스미는 이야기꽃이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