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22.
《새재》
신경림 글, 창작과비평사, 1979.3.30.
이른아침에 밖으로 나와서 논두렁을 걷자니 이 시골도 바람이 매캐하다. 우리 보금자리는 나무로 둘러싸면서 매캐김을 막는 듯싶다. 고흥읍에 나오고 서울로 가는 길에도 하늘은 뿌옇다. 시외버스가 전북을 벗어날 즈음 높하늘에 조롱이 한 마리가 가로지른다. 한참 바라본다. 전철을 갈아타고서 부천나루에서 내리니 더욱 매캐하고 뿌옇다. 이곳 분들은 하늘빛이나 바람빛을 느끼는가? 입가리개로 지킬 수 없다. 쇳덩이와 잿집을 줄이고 숲을 품을 일이다. 〈대성서적〉에서 책을 두 꾸러미 장만하고서 〈용서점〉으로 간다. 이제부터 다달이 ‘마음을 노래하기(우리말로 시쓰기)’를 꾸린다. ‘미운놈·봐주다’ 두 낱말을 놓고서 우리 삶길을 돌아보며 삶노래를 여미어 본다. 《새재》를 모처럼 되읽다가 스무 해 앞서 신경림 글을 놓고서 주고받은 말을 떠올린다. 1994∼95년 무렵에 또래한테 신경림 노래책을 건네었을 적에 다들 “시가 나쁘지는 않은데 너무 붕뜬다.” 하고 들려주더라. 그때에는 또래가 책을 썩 안 읽으려고 해서 이렇게 대꾸하는가 싶었으나, 그 뒤로 여러모로 짚고 되읽어 보니 ‘책을 거의 안 읽던 또래’가 문득 읽고서 들려준 말이 참 옳구나 싶더라. 이따금 신경림 글모음을 되읽을 적마다, 이분이 그야말로 “가난한 집안에서 살림하는 작은 어버이(또는 아저씨)”로서 온하루를 집안일로 보내었다면, 아주 다르게 노래를 읊었을 텐데 싶더라. 툭하면 술 마시는 줄거리가 튀어나와서 읽다가 지친다. 집안일을 모르거나 안 하면서 어찌 삶을 노래할 수 있는가?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