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2월 15일에는 부산 〈카프카의 밤〉에서

2025년 2월 16일에는 부산 〈책과 아이들〉에서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한다.

2025년 2월 25일에는 부천 〈용서점〉에서

‘마음을 노래하기(시쓰기 수업)’를 한다.

.

.

전남 고흥 〈숲노래 책숲〉에서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하면서

책자리에 펼쳐놓은 이오덕 어른 책더미 모습.


+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2.14. 상처 입히는 실험



  모르는 사람도 많은데, 너른바다(태평양) 어느 섬에서는 밭을 일구려고 나무를 솎아야 하면, 도끼를 쓰지 않고서 사람들이 나무를 둘러싸며 손을 맞잡고 선다. 둥글게 선 사람들이 나무를 빙빙 돌면서 나무한테 ‘죽음말’을 들려주면 그만 나무가 이레가 지나지 않아서 말라죽는다지.


  어릴 적부터 밉말을 듣고 자라는 아이는 두 갈래 길을 간다. 첫째, 누가 밉말을 하건 말건 스스로 마음에 사랑말을 품기 때문에, 둘레에서 죽어라 퍼붓는 밉말에 터럭만큼도 물들지 않고서 아름답게 살아간다. 둘째, 누가 밉말을 고작 한 마디 했을 뿐인데, 이 한 마디 밉말이 싹트고 자라서 그만 사납빼기에 망나니로 기운다. 그리고 늘 밉말을 듣기 때문에 스스로 마음을 갉고 할퀴면서 둘레 모든 사람을 괴롭히고 짓밟는 망나니에 사납빼기로 치닫는다.


  우리는 2014년에 ‘우두머리 박근혜 씨’를 끌어내렸고 사슬터에 넣었다. 사슬터에 들어간 박근혜 씨는 사슬살이를 마치고 나왔다. 사슬살이를 했어도 썩 뉘우치는 빛이 없어 보이는데, 그래도 그이는 사슬살이를 마쳤으니 ‘잘못값을 치렀’다. 우리는 ‘잘못값을 치른’ 사람한테 더는 손가락질을 안 할 수 있는가? 잘못값을 치렀으니 ‘비록 뉘우치는 빛이 안 보여’도 너그러이 품을 수 있는가?


  우리 집 아이가 설거지를 거든다고 하다가 그만 접시를 깨뜨리면, 이 아이가 서른 살에 예순 살이 지나도록 “너 임마, 그때 그 접시 깨뜨렸잖아! 얼마나 아끼던 접시인 줄 알아?” 하면서 손가락질을 하겠는가? 아니면, 새 접시를 장만하고서 “깨진 접시는 치우면 돼. 너 어디 다친 데 없니?” 하고 묻고서 말끔히 마음에서 지우겠는가?


  썩은짓(부정부패)은 왜 안 사라질까? 우리 스스로 ‘벼슬자리’가 바로 썩은짓이 태어나는 밑싹인 줄 안다. 그런데 우리 스스로 벼슬자리를 안 없앤다. 벼슬자리가 ‘썩은자리’가 아닌 ‘일자리’로 바로서도록 온마음과 온힘을 기울이기보다는, “벼슬자리에 앉아서 썩은짓을 일삼은 놈”한테 죽도록 손가락질을 하느라 바쁜 나머지 썩은짓은 사라질 턱이 없다. 누구나 벼슬자리에 앉아서 일자리로 가꾸도록 이 삶터를 일구면 되는데, 정작 우리는 이 일에는 마음이 없다. 썩은짓을 한 모지리를 죽어라 손가락질을 하는 데에 온마음을 기울이기 바쁘다.


  썩은 모지리를 안 나무라야 할 까닭은 없는데, 언제까지 그놈을 손가락질을 하느라 바쁘게 살 셈일까?


  우리 곁에 있는 모든 아이들을 바라보자. 내가 낳은 아이를 보고, 이웃이 낳은 아이를 보자. 우리는 아이들을 바라보아야 스스로 어른이다. 아이가 물려받을 말글을 아름다이 일구어야 어른이다. 아이가 이어받을 삶터와 들숲바다를 푸르게 돌볼 줄 알아야 어른이다. 모지리를 나무라고 탓하고 손가락질을 하겠다며 우르르 몰려다니는 짓은 터럭만큼도 어른스럽지 않다. 새길을 밝히고 새살림을 여는 목소리를 나누고 배우고 가르치는 배움마당을 꾸준히 연다면 어른스러울 테지.


  “상처 입히는 실험”은 제발 그만두자. 꽃씨를 심은 꽃그릇 둘이 있을 적에, 한쪽 꽃그릇에는 “사랑해!”란 글씨를 붙이고, 다른쪽 꽃그릇에는 “미워! 죽어버려! 꺼져!”란 글씨를 붙이면, 두 꽃그릇은 어찌 될까? 이런 짓(실험)을 굳이 되풀이해야 할까? ‘그놈들’이 틀림없이 제발 죽어버리고 꺼져버리기를 바랄 만큼 썩고 더럽고 추레하고 못나고 사납고 엉터리라고 하더라도, 손가락질은 하루 했으면 넉넉하다. ‘하루 손가락질’을 했으면, ‘다른 삼백예순나흘은 살림짓기’를 해야 누구나 어른이요, 아이 곁에서 손을 맞잡고 숲길을 거닐 수 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