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현실
우리의 현실을 호도하는 세력이다 → 우리 삶을 가리는 무리이다
과거의 현실을 사유하면서 → 지난삶을 곱씹으면서
지금의 현실을 직시하여야 → 오늘 이곳을 바로보아야
‘현실(現實)’은 “1. 현재 실제로 존재하는 사실이나 상태 2. [철학] 실제로 존재하는 사실 3. [철학] 사유의 대상인 객관적·구체적 존재 4. [철학] 주체와 객체 사이의 상호 매개적·주체적 통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현실’ 얼거리라면 ‘-의’부터 털고서, ‘삶·살다·-살이·살아가다·살아오다·살아내다’나 ‘삶길·삶터·삶자락·살림·살림살이·살림자락·살림터’로 풀고, ‘오늘·오늘길·오늘하루·오늘날’이나 ‘요새·요즘·이즈막·이즈음’으로 풀어요. ‘하루·하루꽃·하루빛’이나 ‘여기·이곳·이쪽·이때·이승·여태’나 ‘이 나라·이 땅·이·이제·이야말로’로 풀 만합니다. ‘그곳·그쪽·그대로·그야말로·고스란히’나 ‘눈밑·눈앞·코밑·코앞·발밑·뼛속·턱밑’으로 풀 수 있고, ‘있다·지내다·있는 그대로’나 ‘눈·눈길·눈망울·눈빛’이나 ‘뚜렷하다·또렷하다·머금다·삼삼하다’로 풀어도 어울려요. ‘모습·참모습·참흐름·맨낯·민낯·속낯’이나 ‘살갗·몸소·몸으로’로 풀고, ‘터·터전·마당·판’이나 ‘온살림·크다·하나둘셋넷’으로 풀어요. ‘바로·곧바로·막바로·곧장’이나 ‘돈·돈벌이·돈닢·돈바치’로 풀고, ‘따지다·밝히다·거리낌없다·스스럼없다’나 ‘곁·가깝다·둘레·마음에 들다·마음이 맞다’로 풀어도 돼요. ‘마땅하다·맞다·알맞다·이바지’나 ‘돌아보다·둘러보다·어림·어림하다·얼추잡다’로 풀고, ‘드디어·어찌·얼마나·얼마 앞서·짜장·참말로’나 ‘아직·아무래도·여러모로·좀·조금·좀처럼’으로 풀지요. ㅅㄴㄹ
고통받는 청년들의 현실과 민주주의의 위기 상황을 살펴보게 합니다
→ 하루하루 괴로운 젊은이와 고비를 맞은 어깨동무를 살펴봅니다
→ 삶이 고단한 젊은이와 아슬아슬한 풀꽃나라를 살펴봅니다
《세월의 기억》(박순찬, 비아북, 2014) 14쪽
파파넥은 소비사회의 현실을 현실로 보지 않는다. 그것은 가짜 현실이다
→ 파파넥은 펑펑나라 모습을 그냥 보지 않는다. 이는 꾸며낸 삶이다
→ 파파넥은 마구나라 모습을 그대로 보지 않는다. 이는 억지 모습이다
《그때 그 책을 읽었더라면》(최범, 안그라픽스, 2015) 159쪽
사회주의의 현실을 본
→ 두레나라 민낯을 본
→ 두레길 맨얼굴을 본
《여행의 이유》(김영하, 문학동네, 2019) 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