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4.
《치유를 위한 해독》
앤서니 윌리엄 글/조응주 옮김, 샨티, 2023.12.20.
간밤에 ‘모지리짓’이 있은 듯하다. 나라지기라는 이는 나라에서 누구보다 고르게 살피면서 두루 아우르는 일꾼이어야 할 테지만, 총칼잡이로 휘어잡으려는 얼뜬 마음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그러나 그이뿐일까? 이 나라에서 ‘-장·-관·-수·-사’ 같은 감투를 쓰는 이들치고 허울을 안 내세우는 이가 몇일까? 우리나라는 갈수록 ‘어깨동무(민주주의)’를 잊는다. 어깨동무는 ‘이야기(대화) + 어울림(타협)’이라고 하지만, 왼오른이 서로 이야기를 안 할 뿐 아니라, 둘이 한 발짝이건 열 발짝이건 살짝이건 물러나거나 맞추는 어울림마저 없다. 그저 머리(숫자)를 앞세워서 혼자 차지하거나 거머쥐려는 담벼락이 높다. 《치유를 위한 해독》을 읽었다. 꽤 두툼한 길잡이책이다. 이 책이 들려주는 대로 몸씻이를 해볼 만하다. 다만, 이 책은 우리나라 터전이나 살림에 맞춘 길잡이는 아닌 줄 알아야 한다. 모든 몸씻이풀은 땅과 들숲바다와 바람과 날씨와 해와 별빛에 따라서 다르다. 이 땅에는 이 땅에 맞는 몸씻이풀이 있다. 이를테면 질경이나 쑥이나 마늘이나 감이나 모과나 잣나물이나 돌나물이나 갯기름나물을 비롯한 모든 나물로 몸씻이를 할 만하다. 스스로 들숲을 품는 삶터라면 어떤 들풀과 나뭇잎과 낟알과 열매로도 다 씻어낸다.
#CleansetoHeal #AnthonyWilliam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