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1.16.
《아버지의 첫 직업은 머슴이었다》
한일순 말·한대웅 씀, 페이퍼로드, 2021.5.14.
아침에 큰아이 배웅을 받고서 이웃마을로 걸어간다. 땀을 들이고서 시골버스를 탄다. 읍내에 닿아 서울 가는 시외버스를 갈아탄다. 살짝 눈을 붙이고서 신나게 노래를 쓰고, 책 한 자락 읽는데, 아이돌봄길을 쓴 줄거리인데 너무 못 썼다. 이 책을 쓴 분은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길’ 뿐 정작 스스로 어떤 아이살림을 지었는지 몇 줄조차 못 쓰면서 ‘육아일기’라는 이름을 붙였네. 아이랑 누리면서 함께 짓는 살림을 적어야 ‘아이곁글(아이 곁에서 쓴 글)’일 텐데. 서울에 닿아 〈숨어있는 책〉으로 찾아간다. 서울이웃님하고 책빛을 함께 누린다. 〈글벗서점〉에는 들르지 못하고서 〈나무 곁에 서서〉로 건너간 뒤에 《들꽃내음 작은책집》 이야기를 편다. 긴 하루를 마치고서 밤에 《아버지의 첫 직업은 머슴이었다》를 돌아본다. 배움턱은 아예 디딘 적이 없이 머슴을 살다가, 맨몸으로 종이뜨기를 하다가, 함께 살림을 일굴 짝을 만나고는 조금씩 먹고살 만할 즈음, 여러 이웃과 살붙이한테 돈을 떼어먹혔지만 꿋꿋하게 일손을 쥐며 세 아이를 돌본 어버이 삶자국을 차곡차곡 여민 얼거리이다. 다만, 아버지가 들려준 이야기를 ‘아버지 말씨’ 그대로 담았다면 돋보였으리라 본다. 손으로 짓고 몸으로 익힌 삶을 ‘아들’이 좀 많이 쳐낸 듯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