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1.


《내가 좋아하는 것들, 강릉》

 이정임, 스토리닷, 2024.6.30.



아침에 〈책과 아이들〉에서 ‘바보눈(바라보고 보살피는 눈길)’ 모임 일곱걸음을 편다. 오늘은 테즈카 오사무 님 그림꽃 《블랙잭》과 《불새》를 이야기한다. 올해에 셈겨룸(대학입시)을 치른 열아홉 살 푸름이가 쓴 노래를 놓고서 어떻게 가다듬고 추스르면서 새롭게 글빛을 밝힐 만한지 들려준다. 이러고서 13시부터 24시까지 쉬잖고 엮음모임을 한다. 우리가 새롭게 펴내려는 꾸러미(잡지)를 어떻게 돌보고 품고 살피면서 나아갈는지 뜻과 마음을 되짚는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강릉》을 돌아본다. 강릉에서 나고자란 뒤에 이 고장을 사랑하려는 마음을 어떻게 풀고 펴면서 하루를 살아가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다만, 아직 ‘사랑’까지 이르지는 않은 듯싶다. ‘좋아하는’이라는 자리에서 맴도는구나 싶다. 더 작게, 더 낮게, 더 가만히, 더 넓게, 더 고루, 더 지긋이, 더 차분히 같은 말은 얼핏 어려울는지 모르지만, “둘러볼 곳곳”보다는 “돌아보는 이곳”이라는 대목으로 눈썰미를 바꾸어 본다면, 앞으로는 ‘좋아하는’을 내려놓고서 ‘사랑’으로 한 발짝 내딛을 만하다고 본다. 사랑이라면 흩어지거나 어지럽거나 딱딱하지 않다. 사랑이라면 아이 곁에 서서 들려주는 말씨로 거듭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